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화공 차형준 교수팀, 구조 전환 DNA 기반의 진단용 ‘맞춤형’ 당(糖)칩 만든다 [POSTECH·영남대 공동연구팀, pH 감응형 DNA 링커 활용 복합당칩 개발] 당칩(glycan chip)은 고체 표면에 고밀도로 당(糖, glycan)*1을 고정해 암과 같은 질병 발생에 대한 진단 등 당과 관련한 상호작용을 빠른 속도로 한꺼번에 분석할 수 있는 마이크로칩(microchip)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 당칩을 간단히 ‘맞춤형’으로 만들 2021-03-04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 연구성과 POSTECH 경북씨그랜트센터, 똑똑한 물질로 바다의 여인 지킨다 [첨단 IT 기술 활용 스마트 해녀 안전 시스템 개발] POSTECH이 경북지역 해녀 문화를 보전하고, 물질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첨단 IT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해녀 안전시스템을 개발해 보급에 나섰다. 경북 동해안에 사는 해녀는 1,500여 명으로 제주를 제외하고 가장 많다. 하지만 60대 후반이 넘는 고령자가 대부분이며, 해마다 장시간 물질이나 무리 2020-10-22720 대학소식 봉사활동은 언택트, 재능기부로 콘택트! [POSTECH 대학생 온라인 멘토링 프로그램 12월까지 운영] 언택트 시대에 맞춰 대학생들의 재능기부도 비대면으로 이루어지며, 더 나은 사회를 위한 따뜻한 마음이 랜선에서도 널리 퍼져가고 있다. 온라인으로 지역 학생들의 학습을 돕고 있는 POSTECH의 온라인 멘토링 프로그램이 지역사회에 잔잔한 감동을 주고 있다. POSTECH 온라인 멘토링 프로그램은 2020-10-21282 연구성과 전자 양현종 교수팀, ‘AI 전자현미경’이라면 초보자도 척척!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 전자현미경 개발] 인간의 지적 욕망은 현미경의 개발로 더 작은 것, 미세한 것 심지어 살아 움직이는 것까지 들여다볼 수 있게 됐다. 여기에 한 발 더 나가 인간의 눈(휴먼 비전) 한계를 넘어서 기계의 눈(머신 비전)을 장착한 인공지능 현미경이 나왔다. 초보자가 활용해도 전문가 수준의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전자전기공학과 양현종 2020-10-20452 연구성과 신소재 강병우 교수팀, 전기차 6분이면 90% 충전할 수 있다 [입자 크기 줄이지 않고 부피당 고에너지 밀도와 고출력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이차전지 양극 소재 비밀 밝혀] 최근 테슬라(Tesla)를 필두로 하여 세계적으로 전기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전기차는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와 달리, 이차전지의 동력만으로 자동차를 움직이기 때문에 배터리의 성능이 곧 자동차의 성능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느린 충전 시간과 2020-10-19560 연구성과 화공 정대성 교수팀, 자유롭게 색 재현하는 OPD 광센서 나온다 [화학적 도핑 이용한 광다이오드의 자유로운 색 조절] 포토다이오드는 빛의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광센서이다. 유기 포토다이오드는 응답속도가 빠르고, 색 대응 파장대의 조절이 가능해 컬러필터 없이 색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보고된 색 조절 기술들은 대부분 포토다이오드를 두껍게 만들어 광 왜곡을 일으키기 때문에 작고 얇은 화면 2020-10-15342 대학소식 혁신 주도할 인재 꽃 피우리…POSTECH, 박사후연구원 펠로우십 ‘PIURI’ 선정 우리 대학은 지난 12일 포스코국제관 대회의실에서 첨단 기술혁신을 주도할 핵심인재 양성을 위한 ‘박사후연구원 펠로우십 PIURI’*1 사업의 대상자를 선정하고, 증서를 전달했다. PIURI 사업은 우리 대학의 우수 박사후연구원을 선정해 연구 활동을 지원하고, 혁신성장을 선도할 고급연구인재 육성하기 위해 기획됐다. 기술혁신에 관심있는 인재가 역량을 마음껏 발 2020-10-151,053 대학소식 철강 이종수 교수, 국내 최초 일본철강협회 ‘최우수 논문상’ 수상 철강대학원 이종수 교수가 세계 철강 산업의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일본철강협회(The Iron and Steel Institute of Japan, ISIJ)가 수여하는 ‘최우수 논문상(Distinguished Article Award)’을 받았다. 최우수 논문상은 지난 10년간 일본철강협회와 일본금속학회에서 발간하는 SCI 저널에 출판된 논문 중에서 학문적 2020-10-14567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화공 김진곤 교수 공동연구팀, 햇살이 뜨거워도 온도 떨어지는 단열재 나왔다 [POSTECH-고려대 공동연구팀, 에너지 소비 없는 주간 복사 냉각 소재 개발] 바야흐로 가을이 깊어지고 있다. 아침저녁으로 일교차가 크게 나타나는데 이것은 지표면의 복사 냉각에 의한 기온역전 현상 때문이다. 낮 동안 태양으로부터 열을 받아 기온은 올라가며, 해가 진 밤 동안에는 지표면의 온도가 내려가게 된다. 최근 POSTECH‧고려대 공동연구팀이 낮 2020-10-13486 연구성과 신소재 최시영-물리 이대수 교수 공동연구팀, AI로 세상에 없던 메모리 소자용 재료 만든다 [AI로 원자 구조 변이 제어해 새로운 물리 현상 구현] “땅의 길을 열어준 재료가 고무라면, 하늘길을 열어준 재료는 알루미늄”이라는 말이 있다. 인류사를 바꾼 전환점에는 항상 새로운 소재의 발견이 있었다. 메모리에 적용되는 소재 역시 도핑된 실리콘 소재, 저항변화 소재, 자발적 자화소재, 그리고 자발적 분극소재 등 새로운 재료가 나타나면서 혁신적으로 진화 2020-10-12575 대학소식 POSTECH 철강대학원 강의 Coursera서 “입소문” 철강대학원이 세계적인 MOOC 사이트 코세라(Coursera)에 개설한 강의가 입소문으로 큰 인기를 모으며 수강인원 10,000명 이상을 달성했다. 철강대학원 김낙준, 김성준, 정성모, 서동우, 강윤배 교수가 만든 ‘철강기술(Ferrous Technology) Ⅰ‧Ⅱ’는 꾸준한 인기를 모아왔다. 이 수업은 제철이나, 미세구조, 상변화, 응용기술 등 철강에 2020-10-07693 First Page12345678910NextLast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