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환경 조강우 교수팀, 수소 생산을 위한 “싸고 빠른” 촉매 개발 [POSTECH-GIST 공동 연구팀, 니켈-철 스피넬 산화물의 이리듐 도핑을 통한 산소발생 활성과 안정성 향상] 세계 곳곳에서는 나타나고 있는 이상기온 현상이나 가속화되는 지구온난화를 막을 방법은 없다. 그 속도를 늦추는 것이 인류의 과제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만큼 온실가스의 주성분인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화석연료 대신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기 2023-02-01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IT융합‧전자‧기계 김철홍 교수팀, ‘빛나는 섬유’로 몸속 세계 탐험한다 [김철홍·노준석 교수팀, 근접장으로 얻은 광음향 신호 영상화 최초 성공] [“렌즈 대신 광섬유 적용…초고해상도 광음향 현미경 개발의 새 지평 열어”] 현미경 덕분에 우리는 맨눈으로 볼 수 없는 아주 작은 세계를 탐험할 수 있다. 특히나 최근, 빛이 흡수될 때 생기는 진동을 이용해 세포나 혈관을 촬영하는 광음향 현미경이 개발되며 조영제 없이도 몸속을 속속 들 2022-10-25218 연구성과 IT융합‧전자‧기계 김철홍 교수팀, 빛 이용해 ‘두근두근’ 뛰는 손가락 혈관 본다 [POSTECH·삼성종합기술원 공동연구팀, 광혈류측정기·광음향현미경 결합 시스템 개발] [“맥파 신호 변화에 따른 혈관 이미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손목에 차기만 해도 우리의 건강 상태를 수시로 알려주는 스마트워치. 이 스마트워치는 빛을 이용해 측정한 맥파 신호를 바탕으로 심박수를 알려준다. 이때 심박수의 변화는 수치로만 확인할 수 있다는 한계가 2022-06-09358 대학소식 시스템생명 박정우 씨, 2022 옵티카 바이오포토닉스 학회서 논문상 수상 시스템생명공학부 통합과정 박정우 씨(지도교수 김철홍)가 최근 ‘2022 옵티카 바이오포토닉스 학회: 의광학(2022 Optica Biophotonics Congress: Biomedical Optics)’에서 옵티카 학생논문상(Optica Student Paper Award)을 수상했다. 시스템생명공학부 통합과정 박정우 씨를 비롯해 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 2022-05-24250 연구성과 IT융합‧기계 김철홍 교수팀, 인공지능 광음향기술로 고속·고해상도 혈관영상 찍는다. [韓‧美 공동연구팀 딥러닝 이용한 고속 국지화영상기법 개발] [속도는 높이고 레이저 양은 줄어 환자 부담 낮추는 기술 “눈길”] 번개가 치면, 잠시 후 천둥소리가 들려온다. 번개가 지나간 주변 물질이 빛을 흡수하고, 이 빛이 열로 변하는 과정에서 물질이 팽창해 소리를 내기 때문이다. 바로 이것을 광음향 현상이라고 부르는데, 이 현상을 응용해 몸속을 찍는 광 2022-05-16320 연구성과 IT융합 김철홍 교수팀, 말초혈관, 단 1mm도 놓치지 않고 3D로 살핀다 [김철홍 교수팀, 광음향·초음파 합친 족부 영상 기술 개발] 우리 몸은 마치 정교한 네트워크와 같이 심장에서부터 몸의 말단까지 수많은 말초혈관으로 이어져 있다. 이 말초혈관에 피가 제대로 통하지 않으면 상처가 잘 낫지 않거나, 심지어 괴사에 이를 수도 있다. 특히나 말초혈관질환은 사람이 움직이고 생활하는 데 가장 중요한 ‘발’에서 주로 나타나 더욱 주의가 2022-03-23157 대학소식 IT융합·전자 김철홍·김형함 교수팀, 2022 국제광공학회 학술대회서 최우수 논문상 수상 IT융합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기계공학과 김철홍 교수,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 김형함 교수 연구팀이 국제광공학회(SPIE) 최우수 논문상(Photoacoustics Journal Elsevier Best Paper Award)을 수상했다. 두 김 교수를 포함, △IT융합공학과 김진영 교수 △IT융합공학과 통합과정 안중호·백진우 씨·시스템생명공학부 김효진 2022-02-14210 대학소식 IT융합‧전자‧기계 김철홍 교수, 2021년 12월 과학기술인상 선정 IT융합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기계공학과 김철홍 교수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수여하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2월)’을 수상했다. 김철홍 교수는 전자·IT 기술을 바탕으로 차세대 진단의료 기술인 다중모드 광초음파 의료영상 시스템을 개발하고, 기술이전과 사업화를 통해 디지털 헬스산업의 국가 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한 공로가 인정돼 수상자로 선정됐다. 2021-12-31121 연구성과 IT융합‧전자 김철홍 교수팀, ‘빛’ 이용해 몸속 깊은 곳 고통 없이 들여다보자 [김철홍 교수팀, 계면활성제 제거된 반도체 고분자 이용한 광음향 영상법 개발] 빛을 이용해 몸속 깊은 곳을 고통 없이 들여다볼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레이저를 생체 조직에 쬐었을 때 생기는 초음파를 이용해 몸속을 볼 수 있게 하는 광음향 영상은 고통을 주지 않는 영상 장비로 주목받고 있다. 다만 아직까지 광음향 영상으로 생체의 심부(深部) 조직까지 보기는 2021-12-0872 연구성과 전자·IT융합 김철홍 교수팀, AI가 내 몸 영상 바로잡아 선명도 높인다 [김철홍 교수팀, AI 이용해 음속 차이로 인한 광음향 영상 왜곡 제거 기술 개발] 몸 안에 퍼지는 음파의 속도(음속)를 정확히 알수록 선명한 초음파나 광음향 영상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음속은 사람마다 다를뿐더러 한 사람의 몸속에서도 근육, 뼈, 지방 등 서로 다른 음속을 가진 성분이 임의로 분포돼 있어 정확하게 예측하기 더욱 어렵다. 최근 국내 연구팀은 2021-11-0870 연구성과 전자 김철홍 교수팀, 수술과 동시에 조직검사 이뤄진다 [POSTECH-가천의대 연구팀, 임상조직에 대한 수술 중 머신러닝 기반 비표지 광음향 병리조직검사 수행] 암 진단은 MRI나 CT, 초음파나 내시경 등 영상검사를 통해 암 의심 진단을 받은 후 의심되는 생체 조직 일부를 떼어내 조직검사를 통해 확정하게 된다. 이런 임상적 진단을 토대로 수술을 통해 암 조직을 외과적으로 제거하고, 추가적으로 의심되는 조직이 2021-09-15470 12345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