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물리/첨단원자력 윤건수 교수·기계 진현규 교수 공동 연구팀, 청정 수소, 전자렌지로 단 몇 분만에 만든다 [POSTECH,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청정 수소 생산 기술로 새로운 전환점 제시] 물리학과 · 첨단원자력공학부 윤건수 교수, 박사과정 유재민 씨, 기계공학과 진현규 교수, 통합과정 이동규 씨 연구팀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청정 수소 생산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기술을 개발하고, 그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이번 연구는 재료 화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재료화학회지 2025-01-16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첨단원자력 김동언 교수팀, 초고속 이미징 기술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지평을 열다 [POSTECH·MPK·우한연구소, 단일 주기 펄스로 전자 홀로그램 패턴 추출 및 조작 성공] 생물체를 이루는 세포나 분자 간 상호작용 메커니즘을 밝히거나 신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물질의 구조 분석하는 연구는 원자 규모에서 진행된다. 이때, 미세한 변화를 거의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초고속 이미징 기술이 필수적인데, 최근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김 2024-06-12538 연구성과 기계/생명/IT융합/융합 장진아 교수팀, 두 기술의 시너지, 바이오프린팅 분야 혁신 이끌다 [장진아 교수팀, 인공 심장 모델 최초로 좌심실 비틀림 재현 성공] 1 더하기 1은 때로는 2를 초과해 3이나 그 이상의 결과를 만들어낸다. 개인의 힘으로는 달성하기 어려운 목표를 팀이 이룬 사례처럼 단순한 계산으로 보이지 않는 시너지가 있기 때문이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이처럼 두 기술의 시너지로 생명과학 분야에서 큰 성과를 내 주목을 모으고 있 2024-06-12603 연구성과 신소재/반도체 이장식 교수팀, 차세대 메모리 기술 돌파구 마련하다! [이장식 교수팀, 하프니아 기반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효율성 극대화] 신소재공학과 · 반도체공학과 이장식 교수 연구팀은 하프니아 기반 강유전체(Ferroelectric)*1 물질과 새로운 금속-강유전체 소자 구조를 이용해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정보 저장 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 연구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 2024-06-10551 연구성과 기계/화공/전자 노준석 교수팀, 나노 세계의 깊은 유대, 양자점과 메타표면 [노준석 교수팀, 프린팅 가능 고효율 발광 제어 메타표면 제작] 사람과의 관계에서 함께하는 공간이 가까울수록 관계는 자연스럽게 더 깊어진다. 공통의 추억이 하나둘 늘어가면서 유대감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 속에서 관계는 점점 단단해진다. 이는 우리 사회뿐만 아니라 공학 세계에서도 마찬가지다. 최근 메타표면 제작 단계에서 양자점(Quantum Dot)을 사용 2024-06-05590 연구성과 환경 이형주 교수팀, 초미세먼지+고령화, 2050년 조기 사망자 11만명 예측 [이형주 교수팀, 한국의 고령화 속도를 고려한 초미세먼지 감축 농도 제시] 지름이 2.5µm(마이크로미터) 이하인 초미세먼지는 호흡기에 악영향을 미치는데, 초미세먼지 농도가 현재 수준을 유지한다면 2050년에는 조기 사망자가 현재보다 3배 이상 많아질 것이라는 POSTECH 연구가 발표됐다. 환경공학부 이형주 교수, 석사과정 김나래 씨 연구팀은 초미세먼지와 2024-06-051,534 연구성과 물리 김준성 교수팀, 위상 자성 반도체의 스핀 물성 원리 규명 [POSTECH · 서울대, 위상 전자상태를 이용한 자성 반도체의 전자기 물성 조절] POSTECH 물리학과(기초과학연구원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 김준성 교수 · 서울대 물리학과 김기훈 교수 공동 연구팀은 위상학(topology)*1적으로 특이한 전자상태를 이용해 자성 반도체의 스핀(spin)*2 물성을 조절하는 새로운 원리를 제시했다. 이번 연구 2024-06-03631 연구성과 화공 이효민 교수팀, 인공세포, 진짜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지다 [이효민 교수팀, 연쇄 효소반응 프로그래밍 가능한 인공세포 구조체 개발] 최근 화학공학과 이효민 교수 · 통합과정 서한진 씨 연구팀은 미세유체기술을 활용해 선택적 분자 투과도를 가진 양친매성 고분자 막 기반 인공세포 구조체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세포 2024-06-03461 연구성과 환경 감종훈 교수팀, 지하수, 이제는 지하세계에서만 맛볼 수 있다 [POSTECH 감종훈 교수팀, 고급 통계 기술 사용해 미래 지하수 고갈 위험 예고] 지하수는 말 그대로 땅속, 지표면 아래에 있는 물을 말한다. 비나 눈 등 강우가 지반과 강, 호수에 스며들어 지하수가 형성되는데, 우리가 마시는 생수가 바로 이 지하수에서 공급된다. 그런데, 2080년까지 우리나라 미취수 지역 인구 중 약 삼백만 명이 지하수 고갈을 경험할 2024-05-30322 연구성과 신소재 강병우 교수팀, 새로운 배터리 플랫폼 찾으려면? 본질에 집중하라! [강병우 교수팀, 뛰어난 공기 안정성과 Li 젖음성 가진 가넷형 고체 전해질 개발] 삶에서 마주하는 여러 어려움 속에서, 우리는 종종 해결책을 찾기 위해 복잡한 접근법을 선택할 때가 있다. 그러나, 이를 깊게 들여다보면 답은 우리가 상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간단하며, 해답을 찾는 핵심은 바로 ‘본질’에 있다. 이처럼 문제의 본질에 집중해 전고체 배터리의 고 2024-05-30424 연구성과 전자 최수석 교수팀, 자유자재로 컬러 변화 조절하는 광소자 기술 개발 [최수석 교수팀, 전 방향 색 파장 위치를 제어하는 스트레쳐블 능동 색파장 조절 소자 개발] 전자전기공학과 최수석 교수 · 박사과정 남승민 씨 연구팀은 빛의 파장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는 스트레쳐블(stretchable) 광소자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광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라이트: 사이언스 앤 애플리케이션(Light: Science & 2024-05-30472 첫페이지로 이동123456789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