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물리/첨단원자력 윤건수 교수·기계 진현규 교수 공동 연구팀, 청정 수소, 전자렌지로 단 몇 분만에 만든다 [POSTECH,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청정 수소 생산 기술로 새로운 전환점 제시] 물리학과 · 첨단원자력공학부 윤건수 교수, 박사과정 유재민 씨, 기계공학과 진현규 교수, 통합과정 이동규 씨 연구팀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청정 수소 생산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기술을 개발하고, 그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이번 연구는 재료 화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재료화학회지 2025-01-16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환경 감종훈 교수팀, ‘팬데믹 = 건강생활, ’엔데믹 =여행’ 인공지능이 읽었다 [감종훈 연구팀, 소비 패턴 분석에 대한 빅 데이터 가치 입증] 코로나 엔데믹의 영향으로 해외 여행객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말 카드사 7곳의 개인용 체크카드 해외 결제액이 전년 대비 약 38% 증가했다. 팬데믹과 엔데믹으로 인한 사회적 변화를 분석하려면 이처럼 카드나 공항 이용 실적 자료가 필요하다. 그런데, 최근 머신 2023-11-17383 연구성과 기계 김석 교수팀, 차가운 반도체에 따뜻한 미술 한 방울 [김석 교수팀, 반도체 · 초소형 전자 소자를 위한 리소그래피 마스크 개발] 스텐실(Stencil)은 판에 구멍을 낸 후 잉크를 통과시켜 그림을 표현하는 미술 기법이다. 이 기법은 전자 · 반도체 분야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스텐실 리소그래피(lithography)는 섀도 마스크(shadow mask)라는 도안을 사용해 기판에 금속을 쌓아 패턴을 만드는 기 2023-11-17511 연구성과 신소재 한세광 교수팀, 금, 이제 웨어러블 기기의 황금빛 미래를 연다 [한세광 교수팀, 금 나노 와이어를 이용해 지능형 의료용 통합 센서 개발] 올림픽에서 가장 우수한 성적을 낸 사람은 금으로 된 메달을 받는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금은 부와 명예의 상징이다. 금은 공기 중에서 안정하고 전기 전도성이 높아 의료용 및 에너지 분야에서 ‘1등 촉매’로 빛을 내고 있는데, 최근 최첨단 웨어러블(wearable) 기기 분야에서도 그 2023-11-15485 연구성과 환경 감종훈 교수팀, 댐, 이제는 AI로 똑똑하게 운영한다 [감종훈 교수팀, 인공지능 모델로 댐 운영 분석 성공] 수년간의 가뭄 이후 집중호우가 내렸던 2020년 8월, 섬진강 인근 댐의 물을 방류하는 과정에서 강이 범람해 1천억 원 이상의 피해가 발생했다. 수해 원인은 당시 댐의 수위를 평소보다 6m가량 높게 유지했기 때문이다. 미리 이 상황을 예측하고 댐을 관리했다면 충분히 막을 수 있지 않았을까? 최근 환경공 2023-11-15270 연구성과 신소재/친환경소재 김용태 교수팀, 급정거로 늙는 수소차, 텅스텐이 방지한다 [김용태 교수팀, 텅스텐 산화물 코팅으로 수소 연료전지 내구성 향상] 보통 휴대폰을 구매하면 가장 먼저 튼튼한 케이스와 액정 보호 필름을 찾게 된다.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휴대폰을 보호해야 하기 때문이다. POSTECH 연구팀은 최근 이러한 케이스와 필름처럼 친환경 수소 연료전지 전극을 보호하는 텅스텐 코팅법으로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신소재공학과 2023-11-08614 연구성과 친환경소재/화공 조창신 교수팀, 피부에 바르지 마세요, 배터리에 양보하세요 [조창신 교수팀, 화장품 원료인 바이오 고분자로 배터리 전극 보호막 개발] 양배추 등 식물에서 얻은 균에 탄수화물을 주입한 잔탄검(xanthan gum)은 화장품의 좋은 성분들이 피부에 오래 남아있도록 보호막 역할을 한다. 그런데 최근 이 물질로 피부가 아닌 배터리 전극의 보호막을 만든 흥미로운 연구가 나와 눈길을 모으고 있다. 친환경소재대학원 · 화학공학 2023-11-08416 연구성과 화학 최창혁 교수팀, 수소 상용화를 위한 또 한 걸음 [POSTECH·KAIST·KIST, 촉매 성능 저하 요인 규명 및 내구성 향상한 촉매 개발] 수소와 산소만으로 전기를 만드는 수소 연료전지는 친환경 수소 경제의 핵심 기술이다. 이 전지의 양극은 촉매 물질로 덮여있는데, 성능이 좋은 금속은 가격이 비싸고, 저렴한 비귀금속 물질은 내구성이 비교적 낮다는 한계가 있었다. 그런데 최근 POSTECH 연구팀이 내 2023-11-08540 연구성과 환경 감종훈 교수팀, ‘농가의 재앙’ 가뭄, 정확한 예측이 필요하다 [POSTECH·국토연구원·국립재난안전연구원, 우리나라 기후 반영한 지표로 가뭄 전망 성공]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3월 전국 평균 강수량은 평년 수준의 절반인 28.7mm에 불과했다. 여름철 장맛비로 가뭄은 해갈됐지만 많은 물이 필요했던 파종기(3월 말~5월 초)에는 물이 부족해 농가의 피해가 극심했다. 기후 위기로 인해 날로 심각해지는 가뭄을 예측하지 못 2023-11-07194 연구성과 신소재/친환경소재 김용태 교수팀, 번개맨, 번개별 대신 지구를 지켜라! [POSTECH·홍익대 공동 연구팀, 열-전기화학 전지 효율 높일 실마리 찾아] 아이들의 영웅 ‘번개맨’과 인기 드라마 ‘무빙’ 속 주인공은 전기를 자유자재로 쓸 수 있는 초능력을 갖고 있다. 그런데 사람의 몸에서 전기를 만드는 일이 어쩌면 초능력이 아닌 일상이 될지도 모른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은 사람의 체온으로 전기를 만드는 전지의 효율을 높여 2023-10-31445 연구성과 화학 박수진 교수팀, 전기차, 한 번 뽑았으면 오래 타야지 [박수진 교수팀, 듀얼 이온 전지 수명 늘리는 고분자 바인더 개발] 배터리(전지)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로 주행하는 전기차는 여러 번 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가 필요하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리튬 이온 전지다. 그러나 제한된 에너지 저장 용량 등 여러 한계가 제기되면서 이를 대체할 차세대 이차전지로 새로운 배터리 시스템인 ‘듀얼(dual) 이온 전지’가 주 2023-10-30481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112131415161718192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