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화학 김원종 교수팀, 고분자 전달체, mRNA치료제의 판도 바꾸다 [김원종 교수팀, 생분해성 고분자로 차세대 mRNA 백신 전달체 개발] 화학과 김원종 교수 연구팀이 질병관리청과 공동으로 mRNA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 기반의 전달체를 개발했다. 이 연구는 생체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 중 하나인 ‘바이오머터리얼즈(Biomaterials)’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 세계는 2025-01-14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전자 김용준 교수팀, 불확실성을 측정하면 보안 수준이 보인다 [김용준 교수팀, 최소 엔트로피 추정을 위한 LRS 추정기 정확도 향상] 정보화 시대에 정보 보호를 위한 암호 및 보안 시스템의 구축은 매우 중요하다. 특별히, 모든 보안 시스템은 내부에서 생성되는 난수의 무작위성(randomness)에 따라 보안 수준이 결정되기 때문에 이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보통 난수의 무작위성을 정량화하는 척도로 정보 이 2023-08-25632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메타물질 기반 미래 초소형 광학 기술에 대한 방향과 비전 제시. [최신 연구 트렌드부터 상용화 방안까지… 통합형 메타표면에 대한 고찰] 투명망토 기술로 알려진 메타표면은 빛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인공 물질이다. 렌즈의 두께를 기존 대비 1만분의 1로 줄일 수 있어 차세대 가상 · 증강현실 기기나 라이다(LiDAR)*1 등 광학 장치의 소형화를 이룰 광소자로 주목받고 있다. 복잡한 제조 공정과 높은 생산 비용의 2023-08-24629 연구성과 화공 노용영 교수팀, 반도체를 위한 어벤져스, 이 조합이면 가능해 [노용영 교수팀, 페로브스카이트 양이온 혼합 통해 트랜지스터 성능 향상] 영화 어벤져스에는 아이언맨과 캡틴 아메리카, 헐크, 토르를 비롯한 여러 영웅이 나온다. 캐릭터들은 각각 고유한 능력과 매력을 갖고 있지만 그들이 모여 하나의 팀을 이룰 때 엄청난 시너지를 낸다. 이처럼 최근 반도체 분야에서도 어벤져스를 구성해 트랜지스터의 성능을 향상시킨 연구가 발표되 2023-08-24491 연구성과 화공 김진곤 교수팀, 꿀벌의 지혜, 반도체 세계에서도 필요하다 [김진곤 교수팀, 블록 공중합체 통해 초고밀도 나노 패턴 제작 기술 개발] 꿀벌은 달콤한 꿀을 최대한 많이 저장하기 위해 육각형 구조로 집을 짓는다. 허니콤(honeycomb)이라 불리는 육각형 구조는 공간 활용 측면에서 놀라운 효율성을 자랑한다. 이러한 경제적인 구조가 과연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도 도움이 될까? 최근 화학공학과 김진곤 교수 · 강석원 박사 2023-08-21478 연구성과 전자 최수석 교수팀, 이미지 센서의 혁신, 사람의 눈을 따라잡을까? [최수석 교수팀, 초저전압 구동 고효율 색 변화 컬러 필터 기술 개발] 사람의 눈은 어두운 환경에서도 빠르게 적응하여 주변의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사진과 영상을 통해 소중한 순간을 생생하게 기록하는 시대, 과연 스마트폰에 달린 카메라가 우리의 눈을 대신할 수 있을까? 전자전기공학과 최수석 교수 · 왕다희 씨(석사졸업, 現 삼성전자) 연 2023-08-16570 연구성과 전자 최수석 교수팀, 영화 ‘어벤져스’ 비전, 카멜레온과 같은 스트레쳐블 전자 피부로 세상에 나오다 [최수석 교수 연구팀, 다중 색 및 투명성 조절하는 생체 모사 전자피부 개발] 한강 세빛섬과 강남대로 등 한국에서 촬영해 큰 화제를 모았던 영화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영화에 나오는 ‘비전’은 어벤져스 세계관에만 존재하는 가상 물질 ‘비브라늄’으로 만들어진 인공지능 로봇이다. 비전은 신체 골격과 팔자주름 등 사람의 모습을 완벽하게 재현했으며, 2023-08-04594 연구성과 생명/융합 김상욱 교수팀, 인공지능이 돕는 신약 임상시험, 더 이상의 실패는 없다 [김상욱 연구팀, 유전자 표현형 불일치 빅데이터를 이용해 약물 승인 예측] 신약 개발은 새로운 치료법을 찾고, 질병을 예방하는 등 의학과 인류의 건강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분야다. 그런데, 그 과정 중에서도 실험실에서 약물의 효능과 안정성을 입증했음에도 불구하고, 최종 관문인 임상시험 단계를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다양한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2023-08-03605 연구성과 IT융합/기계 박성민 교수팀, ‘빛’을 이용한 센서, 재활 치료의 한 줄기 ‘빛’ [박성민 연구팀, 컴퓨터 비전과 광학 센서를 통해 기존 스트레인 센서 한계 극복] 최근 국내 한 기업이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의 재활을 위한 웨어러블(wearable) 로봇을 병원에 기증했다. 환자가 이 로봇을 입으면 걷거나 앉는 동작을 할 때 근육과 관절 운동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스마트 워치나 안경처럼 사람들이 착용하거나 피부에 부착하는 웨어러블 기기 2023-08-01442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물에 녹아 사라지는 몰드, 메타표면 상용화 앞당기다 [POSTECH · 고려대 공동 연구팀, 수용성 몰드로 고해상도·고종횡비 대면적 메타렌즈 생산] 스마트폰 뒷면에 툭 튀어나온 카메라는 언제쯤 사라질까? 빛의 성질을 완전히 무시하는 ‘메타표면’을 적용하면 카메라 렌즈 두께를 기존 대비 1만분의 1로 줄일 수 있다. 하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까다로운 공정의 벽은 아직 높기만 하다. 그런데 최근 물속으로 사라지 2023-07-31338 연구성과 화학 이인수 교수팀, ‘니켈-팔라듐-백금’ 더 가까운 수소를 위한 삼총사 [이인수 교수 연구팀, 위치 선택적 미세증착 공정으로 수소 발생 촉매 효율 향상]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2년까지 등록된 수소차는 약 3만여 대로 2018년과 비교했을 때 약 3배 정도 증가했다. 그러나, 전국에 있는 수소 충전소의 숫자는 135개에 불과하다. 수소차 및 수소 에너지를 대중화하기 위해서는, 수소 연료의 생산 비용을 낮추어 경제성을 확보하여 2023-07-27546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2122232425262728293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