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화공 조길원 교수팀, ‘피부’로 귀보다 정확히 들을 수 있다 [연구팀, 소리 감지하는 피부 부착형 마이크로폰 개발] [“크기 줄이고, 유연성 늘리고…청각 전자 피부로 활용 가능“] “시리야, 오늘 날씨 어때?” 일상의 궁금증 해소부터 음악 재생, 카카오톡 메시지 발송, 내비게이션 조작에 이르기까지 음성 인식 기술은 이미 우리 생활 곳곳에 널리 퍼져있다. 잘 활용하면 더없이 편리하지만,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선 2022-06-22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대학소식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 광학 분야 권위지 ‘빛:과학과 응용’ 부편집인으로 선임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가 스프링거 네이처(Springer Nature)에서 발간하는 광학 분야의 세계적 권위지인 ‘빛:과학과 응용(Light:Science and Applications)’의 부편집인(Associate Editor)으로 선임됐다. 노준석 교수의 연구는 기초 물리학과 깊은 파장 이하의 빛-물질 상호 작용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기반으 2021-05-18368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물속에서도 ‘착’붙는 홍합단백질의 비밀 풀었다 – 표면접착단백질 구성 요소들의 상호작용 메커니즘 제시 – 접착분자들의 새로운 시너지 밝혀…홍합의 표면접착단백질 디자인 원리 규명 거센 파도와 조류에도 끄덕 않고 바위에 착 붙어 생존하는 홍합. 이런 홍합의 수중접착을 모방해 피부나 뼈의 접착뿐만 아니라 지지체 표면개질용 재료, 심지어는 약물전달체, 세포전달체로도 널리 활용되 2021-05-17512 연구성과 화학 박준원 교수팀, 신경 갉아먹는 뇌 속 응집 물체의 정체 밝히다 [4중 힘 매핑으로 밝힌 치매 ·파킨슨 원인 물질인 ‘헤테로’ 나노응집체 구조] 뇌 신경세포 손상으로 기억력과 인지기능이 점점 떨어지는, ‘치매’로도 불리는 알츠하이머병, 손과 팔에 경련이 일어나 정상적인 거동이 어려워지는 파킨슨병은 대표적인 퇴행성 뇌 질환이다. POSTECH 연구팀이 알츠하이머와 파킨슨이 함께 일어나도록 하는 원인 물질의 구조를 규명했다 2021-05-17579 대학소식 2020학년도 학위수여식 개최 지난 2월 5일 개최 예정이었던 2020학년도 학위수여식 행사가 5월 14일 우리 대학 중앙광장에서 열렸다. 코로나19의 급격한 확산으로 5월로 미루어졌던 학위수여식은 확진자 수가 계속해 늘어나고 있는 상황을 감안, 참석자를 최대한 제한해 100명 미만이 참석하는 제한적 대면행사로 개최하고, 이 행사를 대학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하는 방식으로 진행 2021-05-141,266 대학소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ICT명품인재양성사업 성과보고회’ 개최 [POSTECH, 학생들의 열정적인 연구ㆍ교육훈련 스토리 공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정보통신기술 분야(이하 ‘ICT 분야’) 창의적ㆍ도전적인 인재양성을 위해 2011년부터 10년간(‘11~’20년) POSTECH ICT명품인재양성사업을 지원했다. 그동안 이 사업을 통해 학생 주도로 자율주행 자전거 국내 첫 개발(‘18년) 2021-05-13305 대학소식 수학 차재춘 교수 PKC Test of Time Award 수상 수학과 차재춘 교수가 12일 공개 키 암호화 방식 컨퍼런스(Public Key Cryptography, PKC)에서 ‘2021 Test of Time Award’를 수상했다. PKC Test of Time Award는 PKC 컨퍼런스에 발표된 논문 중 15년 이상 지속적인 영향력을 보이는 연구와 연구자에 대해 수여하는 상이다. 차재춘 교수가 18년 전 PK 2021-05-13371 연구성과 신소재 오승수 교수-이동화 교수 공동연구팀, ‘DNA 복합구조’ 재현, 생로병사의 실마리 찾다 [다양한 DNA 공여체-수용체 상호작용 연구…차세대 DNA 복합 구조 설계·예측에 활용] DNA는 살아있는 모든 유기체나 많은 바이러스의 유전암호를 갖고 있다. 이 유전암호를 풀면,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낼 수 있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DNA의 복합구조를 재현하는데 성공했다. 신소재공학과 2021-05-12501 연구성과 기계 진현규 교수-신소재 최시영 교수 공동연구팀, ‘스핀 제벡’ 소자로 열에서 전기 만든다 [고효율 스핀 제백 열전소자 구현 방향 제시] 지열이나 폐열, 체열, 태양열 등 다양한 형태의 열에너지를 회수해 탄소의 발생 없이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열전기술이 차세대 에너지 변환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열전기술의 핵심에는, 고체물질로만 구성되어 있어 소음, 진동, 오염물질의 배출이 없이 에너지 변환을 가능케 하는 열전소자가 있다. POSTECH 2021-05-11642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손가락만 한 라이다 장치 나온다 [나노 광학 기반 초소형 라이다 (LiDAR) 기술 세계적 학술지에 소개] POSTECH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광학 기반 라이다 기술이 나노과학 및 공학 분야의 최고 학술지인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Nature Nanotechnology)에 초청 논문으로 소개됐다. 이번 논문에서는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박사후연구원 김인기 박사, 화학공 2021-05-11759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메타물질 전용 초고속 오픈소스 시뮬레이션 ‘MAXIM’ 무료 배포 [메타물질 설계에 최적화된 초고속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온라인 무료 배포] POSTECH 연구팀이 빛을 자유자재로 조절해 모습을 숨기거나 정보를 암호화하고, 입체 동영상을 광속으로 전달할 수 있는 물질인 ‘메타물질’을 설계할 수 있는 최적화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 무료로 배포했다.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 윤관호 박사(현 서울과학기술대 2021-04-28779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2122232425262728293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