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화학 류순민 교수팀, “붕어빵처럼 닮았네?” 거푸집으로 만든 2차원 유기 분자 결정 [류순민 연구팀 , 질화붕소를 사용해 2차원 유기 분자 결정의 층상구조 형성] 최근 거푸집을 사용하여 약 400여 점의 명품 귀금속을 불법으로 위조한 일당이 검거되었다. 금속을 녹인 후 명품 귀금속 모양대로 제작한 거푸집에 부어 수백 점의 가짜 명품을 탄생시킨 것이다. 이처럼 거푸집 하나면 분자 세계에서도 원하는 모양의 분자 결정을 마음껏 만들어 낼 수 있 2023-06-02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대학소식 기계 박정훈 씨, 미국재료학회 학술대회서 수상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박정훈 씨(지도교수 노준석)가 최근 세계 최대 규모의 재료학회인 미국재료학회(Materials Research Society, 이하 MRS) 학술대회에서 최우수 포스터 논문상(Best Poster Award)을 수상했다. 박정훈 씨는 카이랄 구조를 이용한 기계적 메타물질에 관한 연구로 최우수 포스터 논문상을 수상했다. ‘거울상 대칭구조’ 2022-01-19585 연구성과 IT융합‧전자‧기계 김철홍 교수팀, 서로 다른 초음파 합쳐 ‘더’ 강력해진 유방암 진단기기 나왔다 [2종류 초음파 결합한 딥러닝 모델 개발] [악성 종양 진단 정확도 90% 달해…딥러닝 단일 모델(84%)보다 높아] 서로 다른 초음파를 합쳐서 더 강력해진 유방암 진단기기가 나왔다. IT융합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기계공학과 김철홍 교수, IT융합공학과 미스라 삼파(Misra Sampa) 씨 연구팀은 흑백의 그레이스케일(Gray Scale) 초음파와 변형 탄 2022-01-18499 연구성과 화학 김원종 교수팀, ‘자객’처럼 은폐했다가 잽싸게 암세포 죽이는 약물 나왔다 [자가-희생 일산화질소 기반 항암제 개발] [생체 단백질과 결합해 림프절 내 암세포 제거] 자객은 들키지 않게 무기를 몸속에 숨겼다가 목표물이 가까워지면 잽싸게 꺼내서 공격한다. 이러한 자객과 같이 암세포가 있는 곳으로 찾아 들어가, 집중적으로 공격을 펼치는 약물이 나왔다. 화학과 김원종 교수 연구팀은 생체 단백질인 알부민과 결합해 림프절 내 암세포를 제거 2022-01-17475 연구성과 IT융합·기계 장진아 교수팀, ‘자라나라 미세조직‘…빛으로 인체 조직 한 번에 만들어낼 수 있다 [미세조직 대량생산할 수 있는 3D 바이오프린팅 기술 개발] [광활성 탈세포화 세포외기질 이용…빛으로 프린팅 과정 단축] 국내 연구진이 몸 밖에서 인체의 미세조직을 ‘한 번에’ 만들어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가시광선으로 미세조직을 구성하는 세포외기질을 빠르게 굳혀 제작 과정을 단축한 것이다. 만들어진 미세조직은 각각 간, 대장 등의 조직과 생리학적으로 2022-01-12523 연구성과 환경 민승기 교수팀, 지구가 2℃ 뜨거워지면 여름 3주 늘어난다 [지구 온도 상승 시 여름 길이 변화 예측] [여름 팽창으로 이른 더위와 늦더위도 3배 많아져] ‘삑, 정상 체온입니다’. 불과 몇 년 사이 식당이나 건물을 들어갈 때 체온을 재는 상황이 당연해졌다. 사람의 경우 정상 체온보다 단 1℃만 높아져도 건강이 위험하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지구의 온도가 1℃, 2℃ 높아질 경우 어떤 일이 일어날까? 최근 2022-01-10617 연구성과 화공 이효민·김동표 교수팀, 3D 프린팅 기반 플랫폼으로 맞춤형 마이크로입자 연속생산 기술 발표 [수중유·유중수 에멀젼 기반 마이크로입자 대량생산 기술 개발] 3D 프린팅 기술로 각종 모형과 부품, 음식, 심지어는 인공장기를 만들어내는 시대가 왔다. 나아가 최근 국내 연구진이 맨눈으로 보기 어려운 마이크로입자까지도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플랫폼 기술을 개발했다. 마이크로입자는 1만 분의 1미터(m)인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입자를 말한다. 화학공학과 이 2022-01-05523 연구성과 물리 송창용 교수팀, ‘거꾸로 흐르는 시간!’…강한 빛 쏘면 날뛰던 원자들 얌전해진다 [4세대 방사광가속기 이용해 비평형상태의 원자 배열 관측] [“기존 이해와 상반되는 현상 나타나…빛으로 지금까지 몰랐던 물질의 새로운 성질 알 수 있어”] 물질이 녹으면 그 속에 규칙적으로 배열돼 있던 원자가 마구 흐트러지게 된다. 그러나 강한 레이저 빛을 쏠 경우, 원자의 시간은 거꾸로 흘러 오히려 서로 규칙적으로 배열된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최초로 2022-01-04563 대학소식 석좌교수 선정 발표 [‘남고’·‘동국’·‘무은재’·‘세아’·‘연산’ 석좌교수로 임명] 연구 활성화와 연구 수준 향상을 위해 탁월한 성과를 쌓은 교수들을 석좌교수로 선정했다. 구체적으로, △남고석좌교수에 전자전기공학과 박부견 교수 △동국석좌교수에 인문사회학부 송호근 교수 △세아석좌교수에 신소재공학과 김형섭 교수·화학공학과 용기중 교수 등 2명 △연산석좌교수에 생명과학과 이지오 2022-01-03533 대학소식 IT융합‧전자‧기계 김철홍 교수, 2021년 12월 과학기술인상 선정 IT융합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기계공학과 김철홍 교수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수여하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2월)’을 수상했다. 김철홍 교수는 전자·IT 기술을 바탕으로 차세대 진단의료 기술인 다중모드 광초음파 의료영상 시스템을 개발하고, 기술이전과 사업화를 통해 디지털 헬스산업의 국가 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한 공로가 인정돼 수상자로 선정됐다. 2021-12-31152 대학소식 POSTECH, ‘STEP-Corps’ 프로그램 추진 [대구경북권 예비 실험실창업팀 모집] POSTECH이 대구경북권역 내 대학, 출연(연) 등의 실험실창업 활성화와 예비 실험실창업탐색팀 발굴을 위한 ‘STEP-Corps’ 프로그램을 추진한다. STEP-Corps는 대구경북권 미니 아이코어 프로그램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공기술 기반 시장연계 창업탐색 지원사업(이하 ’한국형 아이코어사업‘)’의 아이코어 방 2021-12-24494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2122232425262728293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