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테키안 타일형 리스트형 최신호 보기 지난호 보기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2024 181호 / 기획특집 ① / 우주 개발 우주 개발 2024년 1월 20일, 일본의 탐사선 슬림(SLIM)이 달 착륙에 성공했습니다. 앞서 구소련과 미국, 중국이 달 착륙에 성공했고, 지난해에는 인도의 찬드라얀 3호가 달 착륙에 성공했기에 슬림은 세계 5번째로 달에 착륙한 탐사선이 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역시 달 탐사선 다누리를 2022년 8월에 발사했고, 현재 달 궤도를 돌며 달 탐사 임무를 수행 중입니다. 이처럼 2024-04-30833 2024 181호 / 기획특집 ➁ / 우주 개발 기획특집 ② 우주 개발의 방법 꼭지 1에서는 우주 개발의 이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우주 개발은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일까요? 우주 개발 방법은 크게 유인 탐사와 무인 탐사로 나눌 수 있는데요. 현재 우주 개발 대부분은 탐사선이 천체 표면을 분석하여 지구로 정보를 송신하는 무인 탐사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번 꼭지에서는 무인 탐사선이 어떻게 우주로 가는지 2024-04-30309 2024 181호 / 기획특집 ③ / 우주 개발 기획특집 ③ 우주 개발의 이점 꼭지 2에서는 달에서 어떻게 탐사선을 이용해 우주 개발을 진행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우주 개발을 통해 우리는 무엇을 얻을 수 있기에 우주 개발을 계속하는 걸까요? 이번 꼭지에서는 우주 개발이 우리에게 가져다 줄 다양한 이점에 대해 알아봅시다! 우주 개발의 이점: 에너지 자원 확보 우주 개발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대표적인 이점은 &h 2024-04-30584 2024 181호 / HELLO NOBEL [2023 노벨 물리학상 이야기] 아직 가보지 못한 자연의 영역 속으로 2023년 노벨 물리학상이 아토초 펄스의 발생 원리 규명과 그 구현에 기여한 과학자에게 주어졌다. 이 글을 통해서 아토초 과학 기술의 의미와 그 시대적 배경을 공유하고, 단일 아토초 펄스 발생 원리와 이를 활용한 거시세계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양자 현상인 전자 터널링의 실시간 관측을 설명하고자 한다. 2024-04-30301 2024 181호 / 최신 기술 소개 [제4의 상 ‘네마틱’ 최초 관측] 그림 1. 사각격자 이리듐 산화물에서 사극자 질서 고체, 액체, 기체 중 어디에도 포함되지 않은 상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양자 상태에서 제4의 상 네마틱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네마틱이란 액체와 고체의 성질을 동시에 갖는 물질로, 액체와 같이 자유롭게 움직이는 동시에 고체처럼 분자의 배열이 규칙적입니다. 또한, 네마틱은 4개의 2024-04-30541 2024 181호 / 포스텍 연구실 탐방기 Welcome to MARCH Lab! MARCH Lab | Robotics & Bionics 의료보조로봇 및 햅틱스 연구실 MARCH 연구실에서는 인간의 능력을 향상하고 확장할 수 있는 직관적이고 몰입 가능한 인간-로봇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우리 연구실은 MARCH 로보틱스 그룹과 MARCH 바이오닉스 그룹 두 부문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사 2024-04-30377 2024 181호 / 알리미 ON AIR (특별판) CES & Nobel Week 전국의 포스테키안 구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포스텍은 학생들에게 학업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직접 넓은 세계를 경험할 기회도 제공해 줍니다! 특히 2023년부터는 CES와 Nobel Week 중 학생들이 각자 가고 싶은 곳을 선택하여 세계적인 행사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번 호에는 특별히 이 행사들에 다녀온 알리미 선배님들 2024-04-30118 2024 181호 / 알리미 ON AIR NEW RC: 포스텍 알리미의 기숙사 소개 V-log 파릇파릇한 봄날이 지나 어느덧 싱그러운 여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지금쯤이면 다들 새 학년에 적응을 완료하고 남은 학기를 활기차게 보내고 있을 것 같은데요. 올해 여러분들의 학교생활에 새롭게 생겨난 변화들이 있을까요? 포스텍에는 재학생들이 매우 기뻐할 변화가 찾아왔습니다. 바로 전면 리뉴얼된 포스텍 기숙사인데요! RC는 2024-04-30154 2024 181호 / 포라이프 공대생이 작곡가가 되기까지 (버스킹) 어려운 수학 문제에서 실마리를 찾고, 물리학 법칙으로 자연 현상을 설명하는 것에 흥분했던 제가 포스텍에 처음 입학한 순간의 설렘이 아직도 기억납니다. 저는 ‘인류의 행복에 기여하고 싶다’라는 꿈을 이루기 위해 포스텍에 진학하였습니다. 단순히 인간이 편리해지는 기술을 개발하고 싶은 게 아닌, 인간이 행복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탐구하고 그 2024-04-30253 2024 181호 / 크리에이티브 포스테키안 공학도로서의 삶 포스테키안 구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2020년에 포스텍에 입학하여 현재는 대학원에 입학한 권기현입니다. 대학원생이 되었지만, 여전히 저는 해보고 싶은 것과 도전하고 싶은 것들이 많으며 진로에 대한 끊임없는 고민과 발전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대학원생인 저도 그러한데, 하물며 대부분 고등학생이실 포스테키안 구독자 여러분께서는 고민이 많으면 더 많으리라 생각합 2024-04-30296 첫페이지로 이동123456789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 2023년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2019년 2018년 2017년 2016년 2015년 2014년 2013년 2012년 2011년 2010년 2024년 2023년 [180호] 주요 기사들 상온상압 초전도체 / 김성근 총장님과의 이야기 / 나르마 2023-12-120 2023년 [179호] 주요 기사들 마약-DRUGS / 2022 튜링상 /포스텍의일상을그려박서연 2023-08-210 2023년 [178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ChatGPT /알리미 온에어_알리미의 갓생 V-log /공대생이 보는 세상_공원 2023-05-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