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테키안 타일형 리스트형 최신호 보기 지난호 보기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2023 180호 / 기획특집 ➁ / 상온상압 초전도체 [양자 역학으로 설명하는 초전도 현상] 꼭지 1에서는 초전도체가 무엇인지, 초전도체는 어떤 특성을 가지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전기 저항이 없어서 전류가 많이 흘러도 전력 손실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하니, 정말 놀랍지 않나요? 그런데 초전도체는 어떻게 전기 저항이 0이 되는 걸까요? 그 원리를 양자 역학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초전도체 내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2023-12-12582 2023 180호 / 기획특집 ③ / 상온상압 초전도체 [고온 초전도체와 LK-99, 그리고 초전도체의 미래] 지금까지 초전도체란 무엇인지, 그리고 저온 초전도체의 원리에 대해 배워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자연스레 고온과 상온 초전도체에 대해서도 궁금하실 것 같습니다. 이번 꼭지에서는 고온 초전도체의 발견과 더불어 최근 큰 화제가 되었던 LK-99, 그리고 초전도체의 활용과 미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온 초전도체의 발 2023-12-12509 2023 180호 / HELLO NOBEL [2023 아벨상] 비선형편미분방정식 해의 정칙성에 관한 수학적 이론의 토대 이번 호 헬로노벨에서는 2023년 수학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 중 하나인 아벨상을 수상한 U.T. Austin 대학의 루이스 카파렐리(Luis A. Caffarelli) 교수의 업적 소개와 더불어, 막연하기만 한 비선형 편미분방정식의 수학 이론 연구란 어떤 것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2023-12-12502 2023 180호 / 최신 기술 소개 [카멜레온처럼 피부색을 바꿀 수 있는 인공 전자 피부] 어릴 적 상상 속 물건이었던 투명망토, 다들 한 번쯤은 사용해 보길 바랐을 것 같은데요. 이를 실제로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다고 합니다. 포스텍 전자전기공학과 최수석 교수를 비롯한 연구팀은 카멜레온의 피부처럼 색을 마음대로 바꿀 수 있는 인공 전자 피부 기술을 최초로 개발했습니다. 이 기술에는 카이랄 구조1를 2023-12-12470 2023 180호 / 포스텍 연구실 탐방기 포스텍 기능성 생체 분자 재료 연구실 POSTECH Biomolecular Materials Laboratory 모든 생명체는 구조적, 기능적 기본 단위인 세포를 통해 ‘생명 유지’라는 놀라운 현상을 이뤄내고 있습니다. 단백질은 세포의 생명 현상 유지를 위한 세포 내 핵심적 요소로서 유전정보의 복제/전달/교체, 효소 촉매반응, 목표 분자인식, 물질 출입 통제와 조절 등 매 2023-12-12366 2023 180호 / 알리미 ON AIR 알리미의 학과 생활 V-log 전국의 포스테키안 구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쌀쌀한 가을이 저물고 어느덧 추운 겨울이 한창이네요. 벌써 한 해의 끝이 다가오고 있다는 것이 실감 나지 않는데요. 여러분은 어떠한 해를 보내셨나요? 연말이 다가오면 매번 시원섭섭한 감정이 들지만, 대학생들에게는 그토록 기다리던 종강이 다가오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이번 알리미 ON AIR에서 2023-12-12102 2023 180호 / 포라이프 운동, 행복을 찾는 이야기 안녕하세요. 저는 포항공과대학교 조정부의 부원이자 전자전기공학과에 재학 중인 최정윤입니다. 뛰어난 포스테키안들 속에서 저는 그저 평범한 공대생이지만, 저의 조그만 취미 생활을 이야기할 기회를 주심에 감사드리며 포스테키안 독자분들께 제 이야기가 작은 울림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여러분은 어디에서 행복을 찾고 있나요? 우리의 삶 속에는 행복을 느 2023-12-12322 2023 180호 / 크리에이티브 포스테키안 의료 인공지능 전문가를 향해서 심혈관 위험평가 소프트웨어 Reti-CVD 검사 시연 안녕하세요 포스테키안 구독자 여러분, 포스텍 컴퓨터공학과 18학번 김현민입니다. 저는 학교생활을 하며 메디웨일이라는 스타트업에서 의료 인공지능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여러분께 의료 인공지능 분야를 소개해 드리고, 간략한 회사 생활 그리고 대학 생활을 하며 느낀 점들을 공유해 드리고자 합니다 2023-12-12481 2023 180호 / 우당탕탕 포스테키안의 하루 우당탕탕 포스테키안의 하루 (글.그림) 생명과학과 22학번 이예린 2023-12-12352 2023 180호 / Science black box 연구 대상이 된 신체 조직, 무단으로 사용했던 거라고? 21세기에 들어 생명과학은 눈부신 발전을 이루어 내고 있습니다. 인간은 유전공학 분야에서 CRISPR-Cas9을 통해 DNA를 조작할 수 있게 되었고, 합성 생물학 분야에서는 높은 정확성으로 복잡한 생물학적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같은 생명과학의 발전은 식량, 의료, 환경보존 등 많은 분야에서 인류에 2023-12-12347 첫페이지로 이동123456789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 2023년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2019년 2018년 2017년 2016년 2015년 2014년 2013년 2012년 2011년 2010년 2024년 2023년 [180호] 주요 기사들 상온상압 초전도체 / 김성근 총장님과의 이야기 / 나르마 2023-12-120 2023년 [179호] 주요 기사들 마약-DRUGS / 2022 튜링상 /포스텍의일상을그려박서연 2023-08-210 2023년 [178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ChatGPT /알리미 온에어_알리미의 갓생 V-log /공대생이 보는 세상_공원 2023-05-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