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툰으로 보는 POSTECH 타일형 리스트형 생명 박상기 교수팀, ‘조현병’ 태아 신경발달 과정에서 발생한다 [POSTECH-한국뇌연구원-KAIST 공동 연구팀, 조현병 원인인자 MAD1에 의한 대뇌피질 발생 중 신경세포 이동성 조절] 조현병은 망상, 환청, 와해된 언어와 행동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나고,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는 질환으로 관심이 필요한 병이다. 여기서 조현(調絃)이란 사전적인 의미로 ‘현악기의 줄을 고르다.’ 라는 뜻으로, 조현병 2023-02-02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현미경 없이 ‘그라핀’ 가장자리 모양 측정 방법 발견 (2008.12.31) 그라핀 나노리본의 금속원자 에너지 분석을 통한 새 방법 제시필수연구 과제인 ‘그라핀의 가장자리 탄소원자 배열 규명’ 성공해 우주에서 가장 얇은 물질로 잘 알려진 그라핀(Graphene)으로 만든 나노리본의 가장자리 모양을 값비싼 원자 현미경을 사용하지 않고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발견됐다. 물리학과 지승훈 교수ㆍ박사과정 최선명 씨 연구팀은 그라핀 나노리본에 붙은 금속원자의 에너지를 측정해 나노리본 가장자리의 모양을 파악할 수 있는 … 더 보기 "현미경 없이 ‘그라핀’ 가장자리 모양 측정 방법 발견 (2008.12.31)" 2009-08-18953 연구성과 염색체 응축 조절 고리모양 단백질의 비밀 풀다 (2009.1.9) POSTECH 생체분자인지연구단장인 오병하 교수 연구팀(우재성, 임재홍 박사)이 “염색체의 응축을 담당하는 단백질 복합체(MukBEF Condensin)의 ‘고리 모양’ 분자 구조”를 규명하였다. 또한, 이 복합체가 ATP(아데노신3인산)를 사용해 고리를 여닫으며 그 안의 DNA를 가역적으로 가둬둘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재단이 추진하는 창의적연구진흥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고, 연구 결과는 최고의 생명과학분야 저널인 셀(Cell)지 온라인판 1월 9일자에 게재됐다. 염색체는 체세포가 분열하기 … 더 보기 "염색체 응축 조절 고리모양 단백질의 비밀 풀다 (2009.1.9)" 2009-08-181,044 연구성과 POSTECH연구진, 죽음의 생체 회로 규명 (2009.2.20) “노화와 죽음은 체계적으로 프로그래밍된 필연적 단계”POSTECH 남홍길 교수, 세계 최고 과학 학술지 Science 지에 발표 POSTECH 남홍길 교수팀이 식물을 이용해 지금까지 비밀에 싸여 있던 생명체의 노화 및 죽음을 관장하는 생체 회로를 규명하며 인간의 노화를 지연시키는 연구의 중요한 단초를 제공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남 교수팀은 노화와 죽음은 유전자적으로 결정되어 있는 피할 수 없는 필연적 단계임을 밝혀내고, … 더 보기 "POSTECH연구진, 죽음의 생체 회로 규명 (2009.2.20)" 2009-08-181,032 연구성과 시스템생명공학부 황대희 교수팀, 광우병 유발하는 333개 유전자 규명 (2009.3.24) 광우병 진단・치료에 활용가능한 주요 유발 유전자군 판별 광우병 잠복기 진단 및 치료 가능성 제시…에이즈・결핵 적용가능 2000년대 초 영국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지난 해 국내에서 최대의 사회적 이슈로 떠올랐던 ‘광우병(Mad Cow disease)’. 이 광우병을 잠복기에 미리 진단해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치료의 가능성까지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시스템생명공학부 황대희 교수・조지훈 박사팀은 미국 시스템생명과학연구소 (Institute for … 더 보기 "시스템생명공학부 황대희 교수팀, 광우병 유발하는 333개 유전자 규명 (2009.3.24)" 2009-08-181,125 연구성과 유기 수은 검출 가능한 형광센서 개발 (2009.4.28) 안교한 교수팀, ‘미나마타병’유발하는 메틸수은 검출 가능한 형광 센서 개발 살아있는 생물체 내 유기 수은 검출 및 이미징 가능해져 안 교수, “향후 무기와 유기 수은을 구분하는 형광 센서도 개발해” 국내 연구팀이 ‘미나마타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메틸수은과 같은 유기수은을 생물체에서 검출해 영상화할 수 있는 형광 센서를 개발해 국제 학계로부터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화학과 안교한 교수・미툰 산트라(Mithun … 더 보기 "유기 수은 검출 가능한 형광센서 개발 (2009.4.28)" 2009-08-18888 연구성과 POSTECH, 사람의 마음을 읽는 ‘따뜻한 기계’ 만든다 (2009.4.28) 인간의 대표적 4가지 표정 읽는 기술 개발…英 뉴사이언티스트 소개노약자 삶의 질 개선 위한 휴먼 센싱 개발 주력… 자동안면인식 관련 책 발간도 스티븐 스필버그의 영화 <A.I.> 속 로봇들은 사람과 거의 흡사한 모습을 하고, 사람이 짓는 표정을 읽어내 스스로 행동한다. 이 로봇들처럼 기계가 사람의 표정과 마음을 읽어낼 수 있는 날이 다가오고 있다. 컴퓨터공학과 김대진 교수팀은 기쁨, 화남, … 더 보기 "POSTECH, 사람의 마음을 읽는 ‘따뜻한 기계’ 만든다 (2009.4.28)" 2009-08-181,024 연구성과 생명과학과 공영윤 교수팀, 태아의 뇌 발달 조절하는 새로운 메커니즘 찾았다 (2008.5.22) 초기 뇌 발달 과정에서 큰 역할 하는 중요한 인자 발견해선천성 대뇌기형이나 정신지체 현상의 예방과 치료에 활용 ‘성체줄기세포’ 연구에도 활용 …“성체줄기세포 메커니즘 연구 진행할 것” 신경줄기세포(neutral stem cell)의 증식과 분화 과정에서 태아의 뇌 발달을 조절하는 역할의 인자가 있음이 POSTECH 연구진에 의해 처음으로 규명됐다. 생명과학과 공영윤 교수팀은 태아의 뇌 발달 과정에서 일어나는 노치(Notch) 신호전달 과정에 있어서 ‘중간전구체세포(intermediate … 더 보기 "생명과학과 공영윤 교수팀, 태아의 뇌 발달 조절하는 새로운 메커니즘 찾았다 (2008.5.22)" 2009-08-171,137 연구성과 韓ㆍ獨 공동연구팀, 테라비트급 Fe램 구현 ‘앞당긴다’ (2008.6.15) POSTECHㆍKRISSㆍ막스플랑크 연구소 백금-PZT-백금 나노크기 커패시터 최초 구현네이처 자매지 온라인판 게재 … 다강체 활용 가능성 후속연구 이우 박사 한희 씨 동전만한 크기에 콤팩트디스크(CD) 1500장 이상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어 각국에서 경쟁적으로 개발에 나서고 있는 차세대 테라비트급 Fe램(통칭 F램) 구현을 위한 새로운 기술이 한국과 독일의 공동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독일 막스플랑크 재단 미세구조 물리학연구소 궤젤레 박사(現 연구소장)와 이우 … 더 보기 "韓ㆍ獨 공동연구팀, 테라비트급 Fe램 구현 ‘앞당긴다’ (2008.6.15)" 2009-08-17927 연구성과 화학과 김광수 교수팀, 세계 최고 수준의 전자기억 소자 개발 가능성 열어 (2008.6.15) 6월 15일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지에 연구논문 소개 차세대 소형화 기억장치의 新기원 열어 김광수 교수 김우연 씨 교육과학기술부는 국내연구진이 미래 대용량 기억장치의 소형화 문제를 해결해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나노전자소자의 자기저항 효율을 만배 이상 증대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6월 15일 밝혔다. 연구의 주요내용은 단일층 그래핀 나노리본을 이용하여 현재 최고 수백%인 자기저항 효율을 수백만%로 증대시키는 수퍼자기현상 예측에 관한 것으로서, … 더 보기 "화학과 김광수 교수팀, 세계 최고 수준의 전자기억 소자 개발 가능성 열어 (2008.6.15)" 2009-08-17864 연구성과 신소재공학과 제정호 교수팀, X선에 의한 물의 표면장력 감소현상 세계 최초 발견 (2008.5.29) 교과부(장관 김도연)는 교과부(한국과학재단) 창의적연구진흥사업을 수행 중인 신소재공학과 제정호 교수(X선영상연구단장)와 원병묵 박사팀이 “X선에 의한 물의 표면장력 감소현상”을 세계 최초로 발견하고 그 메커니즘을 규명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순수한 물로 이루어진 안정한 자립성(自立性; freestanding)의 물막을 만드는데 성공하였다고 밝혔다. 지금까지는 X선을 물에 쬐어주더라도 물의 특성이 변하지 않는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물의 구조분석 연구에 X선을 오랫동안 사용해 왔다. 그러나 기존의 고정관념과 달리, … 더 보기 "신소재공학과 제정호 교수팀, X선에 의한 물의 표면장력 감소현상 세계 최초 발견 (2008.5.29)" 2009-08-171,186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818283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