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태준학술정보관 5F
054-279-9101~5
수리과학관
054-279-2712
제3공학관
054-279-2713
화학관
054-279-2714
바이오오픈이노베이션센터(BOIC),
생명과학관, 생명공학연구센터(PBC)
054-279-2721
제1공학관
054-279-2715
제5공학관/기계실험동
UG: 054-279-2832
GR: 054-279-2829
제4공학관
054-279-2717
LG연구동
054-279-2718
제2공학관
054-279-2719
환경공학동
054-279-2720
C⁵
UG: 054-279-8888
GR: 054-279-8885
제2공학관
054-279-8202~3,
054-279-8207~8, 279-8212~3
무은재기념관
054-279-2711
수리과학관
054-279-2712
제3공학관
054-279-2713
화학관
054-279-2714
바이오오픈이노베이션센터(BOIC),
생명과학관, 생명공학연구센터(PBC)
054-279-2721
제1공학관
054-279-2715
제5공학관/기계실험동
UG: 054-279-2832
GR: 054-279-2829
제4공학관
054-279-2717
LG연구동
054-279-2718
제2공학관
054-279-2719
환경공학동
054-279-2720
C⁵
UG: 054-279-8888
GR: 054-279-8885
제2공학관
054-279-8202~3,
054-279-8207~8, 279-8212~3
환경공학동
054-279-8301~6
RIST연구4동 4402호
054-279-8401~8
제1실험동 302호
054-279-9551~5
친환경소재대학원
054-279-9201~11
친환경소재대학원
054-279-9201~11
포항공과대학교 인공지능연구원
054-279-8402
C5, 712호
054-279-8412,8417
C5, 712호
054-279-8417
체인지업그라운드 406호
054-279-3870
C5, 712호
054-279-8415
C5, 712호
054-279-8433, 8435
C5, 712호
054-279-8416
체인지업그라운드
054-279-8875
C5, 712호
054-279-8420, 8424
무은재기념관, 208-1호
054-279-9153~4
LG연구동
054-279-8912~5
Mueunjae School of Undergraduate Studies (MSUS)
팝업 닫기경계가 없는 학문 간의 융합
무은재학부는 2018학년도부터 학부 신입생 전원(반도체공학과 별도)이 단일계열로 입학함에 따라 만들어진 학부입니다. 무은재학부는 학과 소속 없이 입학하는 신입생들이 대학생활에 쉽고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자유로운 전공선택을 위한 다양한 학과탐색 기회를 제공하고자 지원하고 있습니다.
‘무은재학부’의 명칭인 ‘무은재(無垠齋)’는 故 김호길 초대 총장의 호이면서, '학문에는 경계가 없다’는 뜻으로 자유로운 전공 선택의 취지를 담은 의미입니다. 무은재학부의 교육목표는 신입생들의 융합적 사고 배양 및 대학생활 적응을 돕고, 전공탐색, 기초필수 교과, 학과 개론 교과 수강 등을 통해 장래 자신이 공부하고자 하는 분야에 대해 고민해 볼 수 있도록 하여 자신의 적성과 흥미에 맞는 학과를 선택하도록 안목을 넓혀주는 데 있습니다. 나아가 자기 주도적 성장을 통해 미래를 설계해 나갈 힘을 길러주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Mathematics
팝업 닫기첨단기술의 기초가 되는 인간의 원초적 특성
수학적 사고를 통해 4차 산업혁명의 중심으로
수학적 사고는 예술이나 음악과 같은 인간의 원초적 특성입니다. 일반적으로 수학은 수와 공간, 변화량 및 관계 등의 다양한 대상을 논리적으로 사고해서 얻은 추상적 지식을 말합니다. 이공계 및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수학을 활용하여 첨단기술과 복잡한 현대사회를 이해하는 독창적인 방법론을 개발해 왔습니다.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수학적 지식의 필요성은 더욱 증대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IoT,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 새롭게 등장하는 기술 혁신도 근본적으로 수학을 응용하고 개발하는 데 기초를 두고 있습니다.
Physics
팝업 닫기양자정보, 나노기술, 생명과학 등
세계 물리학 연구를 선도하는 인재들의 집합소
물리학은 우주와 자연에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의 근본 원리를 탐구하는 기초과학입니다. 물리 지식은 "우주는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물질과 에너지는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 "양자 컴퓨터는 무엇을 계산할 수 있나?"와 같은 근본적인 질문에 답할 단서를 제공합니다. 더 나아가 물리학은 양자정보, 나노기술, 생명과학 등 다양한 최신 과학 공학의 연구에 기초를 제공하는 중요한 학문입니다.
물리학과는 자연의 근본 원리를 체계적으로 탐구·규명해 학문적 발전을 이루고 혁신적인 기술 개발을 선도해 인류 사회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학생들에게 이론과 실험을 아우르는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하고 세계 물리학 연구를 선도하는 중추적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연구실
Chemistry
팝업 닫기의약품, 신소재, 에너지 등
인류 복지와 직결되는 학문
화학과는 물질의 구조와 성질을 규명하고 변환을 통한 새로운 물질 창조의 과정을 연구합니다. 의약품, 신소재, 에너지 등 인류 복지와 직결되는 여러 분야를 이해하고 발전시키는 데 토대가 되는 학문입니다.
합성의학, 비료 합성수지 개발을 통해 질병과 기아에 대처하고, 미래 전자공학, 생명과학의 무한한 가능성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소재와 화학반응 및 분석기법 개발도 화학 분야의 기초가 탄탄하지 않으면 불가능할 정도로 화학은 첨단 과학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Life Sciences
팝업 닫기유수 프로젝트의 지원,
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팀이 모인 혁신의 용광로
생명과학과는 세계적 수준의 연구와 차별화된 교육을 통해 생명과학 분야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자랑합니다. 1989년 설립 이후, BK21 사업, 바이오미래기술혁신연구센터(B-IRC),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등 국내외 유수 프로젝트의 지원을 바탕으로 첨단 연구를 이끌며, 글로벌 리더를 배출하고 있습니다. 특히 소수정예 박사과정 중심의 맞춤형 교육을 통해 창의적이고 진취적인 연구 인재를 양성하며, 각 분야에서 독창적 접근으로 세계 학계를 선도합니다. 학부와 대학원 과정에서 학생들은 심층 이론과 첨단 실험을 통해 실질적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며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합니다.
연구실
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
팝업 닫기더 가볍게 더 기능적으로
정보, 환경, 바이오 재료 분야를 아우르는 경쟁력
신소재공학과는 새로운 소재를 개발하고 소재의 기능을 높여 부품을 가볍게 만들고, 시간과 에너지를 혁신적으로 줄이는 데 일조했습니다. 앞으로 신소재공학과는 정보전자 분야, 첨단구조재료 분야, 환경/에너지 분야, 의공학 분야 및 바이오 재료 분야에서 요구하고 있는 학문적 수요를 충족시키고, 이와 관련된 산업 분야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연구에 역량을 집중할 것입니다.
연구실
Mechanical Engineering
팝업 닫기우수연구센터 첨단유체공학연구센터를 비롯해
10개의 국가지정 연구실 유치에 빛나는 독보적인 학문 경쟁력
기계공학은 에너지 발생 및 변환장치, 고성능 로봇, 자동차 항공기 선박 등 고효율 수송수단, 우주 및 해양기술, 인공장기를 포함한 의공학기술, 환경정화 등 인류 생활에 기여하는 영역이 광범위합니다.
기계공학과는 한국과학재단으로부터 우수연구센터로 지정된 첨단유체공학연구센터와 대학부설연구소인 지능로봇연구센터, 풍력에너지연구소, 초소형기계기술연구소, 자동차기전연구소, 국방 MEMS 특화연구센터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10개의 국가지정 연구실을 유치, 운영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가지정연구실 유치는 교수 수 대비 47.6%의 놀라운 유치율을 보이고 있어 국내 어느 대학과도 비교할 수 없는 훌륭한 교수진의 연구성과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Industrial & Management Engineering
팝업 닫기전통적 산업공학의 기반 위에 경영을 더해
시스템 통합 및 최적화, 패러다임의 변화를 이끌다
현대사회에서 그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는 산업경영공학은 시스템 통합과 최적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 및 삶의 질 향상을 우선으로 하는 산업 환경 조성을 위한 미래지향적 학문입니다. 운영관리, 운용과학, 정보시스템, 경험 및 인간공학, 금융공학, 융합 및 신기술분야, 기업가정신을 포함해, 전 산업에서 요구되는 시대적 패러다임의 변화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가고 해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새롭게 발생되는 디자인, 의사결정, 체계적 운용 등 수많은 활동이 산업경영공학의 몫이 되고 있습니다. 데이터와 프로세스 등이 보다 객관적이고 투명해짐에 따라 산업경영공학의 주요 이론과 도구들이 제 기능을 다하게 될 것이며, 산업경영공학이 추구하는 시스템 통합 역시 진정한 의미를 찾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기술의 발전과 글로벌화, 제품 수명주기의 단축, 제품과 서비스의 결합 등 환경 변화로 인해 산업공학의 역할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산업경영공학과에서는 전통적인 산업공학의 기반 위에 경영 분야의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조직의 효과적인 최적화와 지속적 개선을 이룰 수 있게 하는 지식기반과 기술을 제공함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Business Analytics, Smart Service Systems, Systemic Risk Management 연구그룹으로 나누어 상호 유기적으로 조화롭게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
Electrical Engineering
팝업 닫기지능형 디바이스 등 첨단과학기술 동향에 발맞추어
고부가가치 산업을 육성하는 소수 정예의 선도적 연구
전자전기공학과는 정보화와 융복합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세계적 추세에 따라 창의적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을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국가 정책목표에 부응하고, 소수정예의 선도적 연구를 지향하는 설립 취지에 맞는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학부과정에서는 일반적인 기초과목을 충실히 익히고, 전공 분야를 세분화해 나갈 수 있는 응용능력을 키워 졸업 후 산업체나 대학원 진출 등 어느 분야에서나 일할 수 있는 기초실력을 갖추도록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
Computer Science & Engineering
팝업 닫기인류의 삶을 편리하고 풍요롭게 만드는 정보처리와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첨단 학문
컴퓨터공학은 21세기 정보화 사회를 이끄는 핵심 학문으로서 정보의 생성•저장•가공•관리 및 효율적 배포를 위한 기본원리와 응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컴퓨터공학은 정보처리를 위한 모델과 절차, 이들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그리고 정보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및 편리한 인간생활을 위한 여러 응용 분야를 총 망라하는 포괄적인 과학이며, 이들의 경제적인 창조를 위한 공학입니다. 컴퓨터공학과는 21세기가 필요로 하는 다면형의 인재를 키워내기 위해 컴퓨터의 기초와 응용뿐만 아니라 인접학문과 접목할 수 있는 유연한 사고를 하도록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첨단의 연구결과를 교육에 직접 반영하는 연구중심 교육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
Chemical Engineering
팝업 닫기화학공학은 세계적인 산업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전통적인 화학장치 산업으로부터 에너지/환경기술, 생명공학기술, 정보통신기술 등으로 대표되는 미래융합기술 산업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수학, 물리, 화학, 생물 등 과학의 모든 분야를 망라하는 화학공학은 복합지식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에 적합하며, 새로운 학문 영역을 개척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합니다. 인류에게 건강한 삶, 깨끗한 환경, 지속적인 발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21세기에 등장할 새로운 학문들은 화학공학도들에게는 가장 큰 기회가 될 것입니다.
학과홈페이지 바로가기연구실
Convergence IT Engineering
팝업 닫기창의적 상상력, 융합적 탐구, 혁신적 창조를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인재로 거듭나는 곳
IT융합공학과는 교육 혁신을 통해 새로운 교육 비전을 탐색하면서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인재들에게 동기를 부여합니다. 새로우면서도 폭넓은 사고를 가질 수 있는 교육 과정을 제공합니다. 창의적 상상력, 융합적 탐구, 혁신적 창조를 기반으로 자기 주도적이고 도전적인 문제해결 역량을 갖춘 세계 최고 수준의 인재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
Semiconductor Engineering
팝업 닫기우리나라 반도체산업을 지키는
최고의 공학 인재를 위한 곳
반도체공학과는 날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미래 반도체 기술 개발 경쟁에서 우리나라의 반도체산업을 지켜낼 글로벌 리더를 육성하기 위해 설립됐습니다. 재료, 소자, 공정, 설계를 포함한 반도체 전 분야의 기초 및 응용지식을 바탕으로 최고의 공학 인재를 양성하며 특히 학사 및 석박사통합 과정을 6년 만에 마치는 집중교육 프로그램은 반도체의 내일을 이끌어갈 글로벌 리더가 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The Division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팝업 닫기이공계 연구중심 대학의 학문적 균형을 맞추는
선도적인 인문학 교양교육 시스템
인문사회학부는 이공계 연구중심대학인 우리 대학의 학생들이 자기 분야의 우수한 전문가에 그치지 않고 인간과 사회에 대한 고차원적 사고능력과 도덕성을 갖춘 이공계 글로벌 리더가 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인문학(문학, 역사, 철학)과 사회과학(심리학, 사회학, 경제학, 경영학, 정치학) 분야의 다양한 기본교과와 함께 융합교과, 예술과 체육 교과들, 한국어 글쓰기와 말하기 그리고 영어 교과를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이공계 대학 교양교육의 선도적 모델을 실현해 가고 있으며, 각 분야별 교수들의 뛰어난 연구역량과 폭넓은 학술활동을 바탕으로 사회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Mathematics
팝업 닫기첨단기술의 기초가 되는 인간의 원초적 특성
수학적 사고를 통해 4차 산업혁명의 중심으로
수학적 사고는 예술이나 음악과 같은 인간의 원초적 특성입니다. 일반적으로 수학은 수와 공간, 변화량 및 관계 등의 다양한 대상을 논리적으로 사고해서 얻은 추상적 지식을 말합니다. 이공계 및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수학을 활용하여 첨단기술과 복잡한 현대사회를 이해하는 독창적인 방법론을 개발해 왔습니다.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수학적 지식의 필요성은 더욱 증대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IoT,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 새롭게 등장하는 기술 혁신도 근본적으로 수학을 응용하고 개발하는 데 기초를 두고 있습니다.
Physics
팝업 닫기양자정보, 나노기술, 생명과학 등
세계 물리학 연구를 선도하는 인재들의 집합소
물리학은 우주와 자연에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의 근본 원리를 탐구하는 기초과학입니다. 물리 지식은 "우주는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물질과 에너지는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 "양자 컴퓨터는 무엇을 계산할 수 있나?"와 같은 근본적인 질문에 답할 단서를 제공합니다. 더 나아가 물리학은 양자정보, 나노기술, 생명과학 등 다양한 최신 과학 공학의 연구에 기초를 제공하는 중요한 학문입니다.
물리학과는 자연의 근본 원리를 체계적으로 탐구·규명해 학문적 발전을 이루고 혁신적인 기술 개발을 선도해 인류 사회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학생들에게 이론과 실험을 아우르는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하고 세계 물리학 연구를 선도하는 중추적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연구실
Chemistry
팝업 닫기의약품, 신소재, 에너지 등
인류 복지와 직결되는 학문
화학과는 물질의 구조와 성질을 규명하고 변환을 통한 새로운 물질 창조의 과정을 연구합니다. 의약품, 신소재, 에너지 등 인류 복지와 직결되는 여러 분야를 이해하고 발전시키는 데 토대가 되는 학문입니다.
합성의학, 비료 합성수지 개발을 통해 질병과 기아에 대처하고, 미래 전자공학, 생명과학의 무한한 가능성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소재와 화학반응 및 분석기법 개발도 화학 분야의 기초가 탄탄하지 않으면 불가능할 정도로 화학은 첨단 과학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Life Sciences
팝업 닫기유수 프로젝트의 지원,
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팀이 모인 혁신의 용광로
생명과학과는 세계적 수준의 연구와 차별화된 교육을 통해 생명과학 분야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자랑합니다. 1989년 설립 이후, BK21 사업, 바이오미래기술혁신연구센터(B-IRC),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등 국내외 유수 프로젝트의 지원을 바탕으로 첨단 연구를 이끌며, 글로벌 리더를 배출하고 있습니다. 특히 소수정예 박사과정 중심의 맞춤형 교육을 통해 창의적이고 진취적인 연구 인재를 양성하며, 각 분야에서 독창적 접근으로 세계 학계를 선도합니다. 학부와 대학원 과정에서 학생들은 심층 이론과 첨단 실험을 통해 실질적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며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합니다.
연구실
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
팝업 닫기더 가볍게 더 기능적으로
정보, 환경, 바이오 재료 분야를 아우르는 경쟁력
신소재공학과는 새로운 소재를 개발하고 소재의 기능을 높여 부품을 가볍게 만들고, 시간과 에너지를 혁신적으로 줄이는 데 일조했습니다. 앞으로 신소재공학과는 정보전자 분야, 첨단구조재료 분야, 환경/에너지 분야, 의공학 분야 및 바이오 재료 분야에서 요구하고 있는 학문적 수요를 충족시키고, 이와 관련된 산업 분야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연구에 역량을 집중할 것입니다.
연구실
Mechanical Engineering
팝업 닫기우수연구센터 첨단유체공학연구센터를 비롯해
10개의 국가지정 연구실 유치에 빛나는 독보적인 학문 경쟁력
기계공학은 에너지 발생 및 변환장치, 고성능 로봇, 자동차 항공기 선박 등 고효율 수송수단, 우주 및 해양기술, 인공장기를 포함한 의공학기술, 환경정화 등 인류 생활에 기여하는 영역이 광범위합니다.
기계공학과는 한국과학재단으로부터 우수연구센터로 지정된 첨단유체공학연구센터와 대학부설연구소인 지능로봇연구센터, 풍력에너지연구소, 초소형기계기술연구소, 자동차기전연구소, 국방 MEMS 특화연구센터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10개의 국가지정 연구실을 유치, 운영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가지정연구실 유치는 교수 수 대비 47.6%의 놀라운 유치율을 보이고 있어 국내 어느 대학과도 비교할 수 없는 훌륭한 교수진의 연구성과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Industrial & Management Engineering
팝업 닫기전통적 산업공학의 기반 위에 경영을 더해
시스템 통합 및 최적화, 패러다임의 변화를 이끌다
현대사회에서 그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는 산업경영공학은 시스템 통합과 최적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 및 삶의 질 향상을 우선으로 하는 산업 환경 조성을 위한 미래지향적 학문입니다. 운영관리, 운용과학, 정보시스템, 경험 및 인간공학, 금융공학, 융합 및 신기술분야, 기업가정신을 포함해, 전 산업에서 요구되는 시대적 패러다임의 변화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가고 해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새롭게 발생되는 디자인, 의사결정, 체계적 운용 등 수많은 활동이 산업경영공학의 몫이 되고 있습니다. 데이터와 프로세스 등이 보다 객관적이고 투명해짐에 따라 산업경영공학의 주요 이론과 도구들이 제 기능을 다하게 될 것이며, 산업경영공학이 추구하는 시스템 통합 역시 진정한 의미를 찾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기술의 발전과 글로벌화, 제품 수명주기의 단축, 제품과 서비스의 결합 등 환경 변화로 인해 산업공학의 역할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산업경영공학과에서는 전통적인 산업공학의 기반 위에 경영 분야의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조직의 효과적인 최적화와 지속적 개선을 이룰 수 있게 하는 지식기반과 기술을 제공함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Business Analytics, Smart Service Systems, Systemic Risk Management 연구그룹으로 나누어 상호 유기적으로 조화롭게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
Electrical Engineering
팝업 닫기지능형 디바이스 등 첨단과학기술 동향에 발맞추어
고부가가치 산업을 육성하는 소수 정예의 선도적 연구
전자전기공학과는 정보화와 융복합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세계적 추세에 따라 창의적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을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국가 정책목표에 부응하고, 소수정예의 선도적 연구를 지향하는 설립 취지에 맞는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학부과정에서는 일반적인 기초과목을 충실히 익히고, 전공 분야를 세분화해 나갈 수 있는 응용능력을 키워 졸업 후 산업체나 대학원 진출 등 어느 분야에서나 일할 수 있는 기초실력을 갖추도록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
Computer Science & Engineering
팝업 닫기인류의 삶을 편리하고 풍요롭게 만드는 정보처리와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첨단 학문
컴퓨터공학은 21세기 정보화 사회를 이끄는 핵심 학문으로서 정보의 생성•저장•가공•관리 및 효율적 배포를 위한 기본원리와 응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컴퓨터공학은 정보처리를 위한 모델과 절차, 이들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그리고 정보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및 편리한 인간생활을 위한 여러 응용 분야를 총 망라하는 포괄적인 과학이며, 이들의 경제적인 창조를 위한 공학입니다. 컴퓨터공학과는 21세기가 필요로 하는 다면형의 인재를 키워내기 위해 컴퓨터의 기초와 응용뿐만 아니라 인접학문과 접목할 수 있는 유연한 사고를 하도록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첨단의 연구결과를 교육에 직접 반영하는 연구중심 교육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
Chemical Engineering
팝업 닫기화학공학은 세계적인 산업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전통적인 화학장치 산업으로부터 에너지/환경기술, 생명공학기술, 정보통신기술 등으로 대표되는 미래융합기술 산업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수학, 물리, 화학, 생물 등 과학의 모든 분야를 망라하는 화학공학은 복합지식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에 적합하며, 새로운 학문 영역을 개척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합니다. 인류에게 건강한 삶, 깨끗한 환경, 지속적인 발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21세기에 등장할 새로운 학문들은 화학공학도들에게는 가장 큰 기회가 될 것입니다.
학과홈페이지 바로가기연구실
Convergence IT Engineering
팝업 닫기창의적 상상력, 융합적 탐구, 혁신적 창조를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인재로 거듭나는 곳
IT융합공학과는 교육 혁신을 통해 새로운 교육 비전을 탐색하면서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인재들에게 동기를 부여합니다. 새로우면서도 폭넓은 사고를 가질 수 있는 교육 과정을 제공합니다. 창의적 상상력, 융합적 탐구, 혁신적 창조를 기반으로 자기 주도적이고 도전적인 문제해결 역량을 갖춘 세계 최고 수준의 인재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
Semiconductor Engineering
팝업 닫기우리나라 반도체산업을 지키는
최고의 공학 인재를 위한 곳
반도체공학과는 날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미래 반도체 기술 개발 경쟁에서 우리나라의 반도체산업을 지켜낼 글로벌 리더를 육성하기 위해 설립됐습니다. 재료, 소자, 공정, 설계를 포함한 반도체 전 분야의 기초 및 응용지식을 바탕으로 최고의 공학 인재를 양성하며 특히 학사 및 석박사통합 과정을 6년 만에 마치는 집중교육 프로그램은 반도체의 내일을 이끌어갈 글로벌 리더가 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Division of Environmental Science & Engineering
팝업 닫기환경공학부는 1995년 교육부의 환경 분야 국책대학원으로 설립되었으며, 글로벌 환경난제 해결을 목표로 연구하고 교육합니다. 현재 11명의 전임교원이 함께하며, 네 가지 핵심 분야(기후변화 및 미세먼지, 전지구적 물질 순환, 물순환 및 수처리 기술, 친환경 소재 개발) 집중하고 있습니다. 환경공학부는 지속적으로 과학적·기술적 혁신을 이루어 왔습니다. 주요 연구 성과로는 세계 최초 친환경 소재 제올라이트 설계 및 합성 성공, 질소오염물질이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규명,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북극 온난화 유발 메커니즘 규명 등이 있습니다. 이 성과들은 포스텍 30주년 기념 최고의 연구성과 30선에 선정됐으며, 각 핵심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학술지에 연구 논문을 꾸준히 발표하고 있습니다. 환경공학부는 학생들에게 공학과 과학 분야의 심화 교육을 제공하며, 독립적인 연구 역량을 키워 글로벌 환경난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자로 성장하도록 지원합니다.
학과홈페이지 바로가기Graduate School of Artificial Intelligence
팝업 닫기2019년 정부 지원하에 설립
인공지능 핵심 분야의 창의적 인재 양성
현재 인공지능 분야는 미래 산업을 이끄는 중요한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전 세계가 인공지능 우수 인재를 육성하고 확보하는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대학원은 풍부한 AI교육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석/박사 고급인재를 양성해 국가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고자 2019년 정부 지원으로 설립되었습니다.
포스텍 인공지능대학원에서는 특화 분야인 미디어 AI, 데이터 AI, AI이론 분야를 중심으로 하는 AI Core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 바이오, 헬스케어, 시스템, 에너지, 제조, 재료물리, 윤리 등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연구를 수행하는 AI+X 분야에도 여러 학과의 교원들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특화 연구 분야와 교육과정을 긴밀히 연계하여 교육과 연구가 유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인공지능 핵심 분야에 대한 전문 지식과 산업적 감각을 두루 갖춘 창의적인 인재 양성이 목표입니다.
Division of Advanced Nuclear Engineering
팝업 닫기해외 대학과의 MOU로 다양한 연구 기회 제공
국제적 감각과 리더십을 배양하는 지식과 지성의 터전
첨단원자력공학부 대학원은 폭넓고 깊이 있는 교육연구와 국내·외 원전기술 개발로 원자력의 미래를 이끌고 있습니다. 또한 원자력의 선도적 개발과 안정적인 공급 및 관리, 원자력 폐기물의 효율적 처분, 인간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 포괄적 기술 과학을 바탕으로 폭넓은 지식과 지성을 갖춘 원자력 전문 인력 양성을 목표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우리 대학원은 기계, 물리, 환경 등 다양한 학문 분야를 융합한 학제 간 교육으로 원자력 분야 차세대 기술 연구 및 개발을 선도할 창의적 인재를 육성합니다. 또한 다양한 관련 분야의 학생들을 선발해 기초 및 응용 지식을 교육하고 연구를 병행하며, 글로벌 인재 양성을 위해 해외 대학과의 업무협약(MOU)을 통해 다양한 연수 및 연구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전문 지식을 쌓고 국제적 감각과 리더십을 배양하여 미래의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Graduate Institute of Ferrous & Eco Materials Technology
팝업 닫기친환경제철, 차세대 철강제품을 다루는
세계 유일의 전문 교육기관
친환경소재학과는 철강을 중심으로 한 환경친화형 소재 산업의 발전을 이끌 인력을 양성하고 혁신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할 목적으로 설립했습니다.
우리 학과는 친환경제철 및 차세대 철강 제품 등 친환경소재를 교육·연구하는 세계 유일의 전문 교육기관으로 국내 주요 산업체 및 연구기관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 학문적 수월성을 바탕으로 산학연 협력의 구심점 역할을 함과 동시에 소재 산업 전반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위기에 선제적인 대응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글로벌 리더 양성을 지향합니다.
Department of Battery Engineering
팝업 닫기산업통상자원부 인가 특성화 대학원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솔루션 연구의 터전
배터리공학과는 전기차, 휴대용 전자기기, 에너지 저장장치 등 미래 에너지 체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에너지 저장장치인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연구합니다. 나아가 차세대 전지 시스템인 소듐이온 이차전지, 전고체전지 등 혁신적인 배터리 개발에 집중하며 에너지 효율성 향상, 비용 절감, 안전성 증대 등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핵심 소재부터 시스템까지 넓은 범위에 걸쳐 활발히 연구합니다.
배터리공학과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인가된 특성화 대학원으로, 전문성을 갖춘 교수진이 첨단 연구 시설을 이용해 배터리 기술 개발을 선도하며,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솔루션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
연구센터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Technology
팝업 닫기소수정예의 강도 높은 교육을 통해
국가 차원의 정보산업 첨단 인력 양성
정보통신대학원은 21세기 산업을 주도할 정보통신 부문의 인력 부족을 해소하고, 국가적 차원에서 정보산업의 첨단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관련 산업체 전문인력과 우수학생 유치를 통해 소수정예의 강도 높은 교육 연구를 실시하고 있으며, 고급 전문기술 인력을 양성에 힘쓰고 있습니다.
Division of Interdisciplinary Bioscience& Bioengineering
팝업 닫기기초과학과 응용과학을 아우르는
최첨단 생명공학 연구를 선도
시스템생명공학부는 2005년에 개설돼 기초과학(생물, 물리, 화학, 수학)과 응용과학(전자, 전산, 기계, 신소재, 화공, 환경공학)의 지식과 기술을 융합한 새로운 생명공학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미래지향적 과학자 및 기술 인재를 육성하며, 최첨단 생명공학 기술 발전의 성공 모델 실현을 목표로 합니다.
연구실
Division of Advanced Materials Science
팝업 닫기융복합 교육 인프라, 산학연 연계로
실무적 AI-첨단소재 연구
첨단재료과학부는 WCU 사업 선정과 함께 2009년 대학원 학과로 설립
됐으며 인공지능 및 첨단소재과학의 융복합 교육 인프라 구축, 산학연 연계를 통한 실무적 AI-첨단소재 연구인력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
Major in Social Data Science
팝업 닫기데이터 기반 사회를 선도할
인문사회적 소양과 공학적 기술 능력을 함양
소셜데이터사이언스(Social Data Science) 전공은 복잡해지는 현실 문제의 종합적 이해와 창의적 해결을 위한 학문적 역량을 강화하고 다양한 사회적 수요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체계적인 커리큘럼으로 교육과 학습, 연구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인문사회적 소양과 역량은 물론 공학적 기술 능력을 함양한 데이터 기반 사회의 혁신형 인재 육성을 목표로 합니다.
Major in 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팝업 닫기의사과학자, 의공학자 등
인류 건강 증진을 위한 융합 연구자의 길
의과학전공은 의사면허 소지자와 이공계 학·석사 졸업자(졸업 예정자)를 대상으로 기존 학과와 연계한 학제 간 융합 연구를 통해 의과학 및 의공학 분야를 선도할 의사과학자(MD-PhD)와 의과학자 및 의공학자(PhD) 등 융합 연구 인력을 양성합니다. 이를 통해 바이오 헬스케어 산업 발전과 인류 건강 증진기여하고자 합니다.
연구실
Major in Management in the Steel Industry
팝업 닫기국내 철강산업을 이끌
소수의 융합인재를 배출
철강경영전공(Major in Management in the Steel Industry/MSI Program, Online Master Degree Program)은 철강산업 관련 기술 소양을 가진 소수의 고급 인재를 모아 철강산업을 이끌어 갈 융합인재를 양성하고 배출하고자 설립했습니다.
Major in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팝업 닫기4차 산업혁명 시대
국방 혁신을 선도
국방과학기술대학원은 첨단과학기술 기반의 4차 산업혁명 아래, 군사훈련과 무기, 전투전략은 크게 변화에 발맞추고 국방혁신 4.0을 선도하기 위한 우수한 인력을 양성하고자 개설됐습니다. 이 전공은 육군‧공군‧해군과 방산업체 등에서 추천을 받은 간부(군무원 포함)를 대상으로 IT트랙(전자전기공학과, IT융합공학과)과 기계‧재료트랙(기계공학과, 친환소재대학원) 등의 트랙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연구실
Major in Convergence Food Technology
팝업 닫기인간과 기계가 공존하는 시대
차세대 융합 인재가 되고 싶다면
푸드테크융합전공은 음식(Food)과 기술(Technology)을 융합해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솔루션을 개발하는 학문 분야입니다. 인간과 기계 공존의 시대를 대비하는 차세대 융합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개설된 이 전공은 4가지 트랙(1.Robotic Cooking, 2. Robotic Service, 3.Robotic Factory, 그리고 4. Food 3D Printing)으로 구성돼 고유한 생각을 가지고, 실제 문제를 풀기 위해 다양한 도메인의 지식을 기존에 활용하지 않던 방식을 추구합니다.
Major in Quantum Information Science
팝업 닫기첨단 양자정보기술 분야의
선도적 연구자로 거듭나는 곳
양자정보과학전공(Quantum Information Science)은 물리학, 공학, 그리고 양자정보과학의 학제 간 융합 연구로 양자컴퓨팅, 양자통신, 양자 센싱 등 첨단 양자정보기술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선도적인 연구자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했습니다.
연구실
Major in Industrial Data Science
팝업 닫기세계 유수 대학과의 파트너십
산업적 가치 창출
포스텍 융합대학원의 산업데이터사이언스 전공은 산업적 가치 창출을 선도할 고급 인재 양성이 목표입니다. 수요자 중심의 데이터사이언스 교육 환경과 세계 최고의 해외 유수 대학들과의 파트너십으로 데이터기반의 창의적 사고를 배양할 체계적 커리큘럼으로 다양한 산업에서 데이터 중심의 경영 의사결정을 선도할 글로벌리더로 성장할 것입니다.
연구실
Graduate Schoo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팝업 닫기국가 반도체 산업의
미래 기술 혁신을 선도하는 곳
반도체대학원은 국가 핵심 산업인 반도체 분야의 지속적인 성장을 이끌 석·박사급 리더 인재 양성 및 교육 시스템을 만들고자 합니다. 전자전기, 신소재, 반도체공학과 등과의 협력으로 반도체 분야에 특화된 교육 시스템이 있고, 현장 맞춤형 교육과 최첨단 연구 환경에서 연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반도체 산업에서 필수적인 실무 경험을 쌓고,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교과과정을 통해 지식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산학 협력 기회와 인턴십 활동을 통해 산업 문제 해결에 능하고 학문적 수월성을 갖추고 실무 경험이 풍부한 현장형 인재, 그리고 통합적 문제 해결 능력을 지닌 리더형 인재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포스텍 반도체대학원은 국가 반도체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하고 미래 기술 혁신을 선도할 것입니다.
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