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CH
Research
Infrastructure
POSTECH
Research
Infrastructure
구분 | 3세대 원형방사광가속기 | 4세대 선형방사광가속기 | |
---|---|---|---|
상태 | 운영 종료 | 운영 중 | 운영 중 |
명칭 | 포항방사광가속기 PLS | 포항방사광가속기 PLS-Ⅱ | 4세대 방사광가속기 PAL-XFEL |
건설기간 | 1988.04~1994.12 | 2009.01~2011.12(성능향상사업) | 2011.01~2015.12 |
소요예산 | 1500억 원 | 1000억 원 | 4038억 원 |
빔 에너지 | 2.5GeV | 3.0GeV | 10.0GeV |
포항방사광가속기는 세계 5번째로 건설된, 현재 국내 유일의 방사광가속기이자 범국가적 연구시설입니다. 빛을 이용해 물질의 다양한 구조적 특성을 연구하고 기초연구와 첨단 산업분야의 응용연구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2012년에 성능 향상(PLS-II)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세계 최고 수준의 환경을 갖춰 매년 수천 명의 과학자들이 방문해 연구합니다. 현재 총 36개의 빔라인을 운영 중입니다.
방사광가속기 장비 소개4세대 방사광가속기는 2016년에 미국, 일본에 이어 세계 3번째로 완공됐으며 4세대 방사광가속기에서 나오는 빛은 3세대보다 1억 배, 햇빛보다 100경 배 밝으며 3세대 보다 1/1000배 짧은 진동의 빛으로 펨토초(10-15초) 동안 일어나는 현상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4세대 방사광가속기는 의학, 약학, 생명과학, 재료과학, 나노기술, 화학, 물리학 등 거의 모든 기술 및 과학분야의 새로운 지식과 발견을 가져다 줄 것입니다.
4세대 방사광가속기 장비 소개대학 내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 능력을 보유한 기초과학분야 연구센터를 유치하며, 차세대 미래 소재 개발의 핵심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현재 복합물질 연구센터와 아토초과학, XFEL양자연구센터를 운영 중입니다. 총 145억 원 이상의 최첨단 연구 인프라를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와 공동 구축했으며 극고속(아토초/펨토초) 분자 분광학 장비, 극고속(아토초/펨토초) 전자 분광학 장비, 중 에너지 연 X선 자성분광학(세계 3번째 연 X선 빔라인) 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포스텍 무은재 기념관에 있는 아시아-태평양 이론물리센터(APCTP)는 국내 최초이자 유일의 국제 이론물리연구소입니다.
APCTP 바로가기1996년 6월에 1957년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C.N.Yang 교수를 초대 소장으로 모시고 아태(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기초과학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설립했습니다. 아태지역의 기초연구 거점 형성, 글로벌 리더십 제고, 아태 지역 이론물리 학술 커뮤니티를 위한 학술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2024년 기준 회원국은 약 19개국(대만, 라오스, 말레이시아, 몽골, 베트남, 싱가포르, 우즈베키스탄, 인도, 일본, 중국, 카자흐스탄, 캐나다, 태국, 필리핀, 대한민국, 호주, 키르기스스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이며, 회원국을 더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포스텍 연구자들은 아태이론물리센터의 연구 지원 프로그램과 연중에 개최하는 다양한 학술활동에 참여해 글로벌 연구자로서 성장할 기회를 얻고 있습니다.
[CREATIVE(창의)・ COLLABORATIVE(협력)・ CULTIVATING(육성) CONVERGENCE(융합)・ CENTER]
포스텍 C5는 학교제도 간 융합 교육과 연구를 촉진하고,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글로벌 리더를 양성하며, 세계를 선도하는 혁신적 연구를 이끄는 구심점 역할을 하기 위해 만든 융합연구동입니다. C5는 Creative(창의)・Collaborative(협력)・Cultivating(육성)・Convergence(융합)・Center의 다섯 단어의 앞 글자를 묶어 만든 명칭입니다. 2015년에 총 315억원을 들여 16,000m2 연면적의 지하 1층, 지상 7층 규모로 준공했습니다. C5에는 합학부(IT융합공학과), 국내 최초로 설립된 애플 디벨로퍼 아카데미 등이 있습니다.
2000년 설립된 생명공학연구센터는 포스코 등 산학협동 기술개발의 연계 허브입니다. 바이오 원천기술 개발과 응용으로 신기술, 사업화 기반을 만들어 국가 생명공학 연구와 산업발전에 기여하는 세계적인 연구센터로 발전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바이오 분야 연구에 필요한 핵심 장비들과 동물실험실이 있으며, 분자의학, 신약개발 등 첨단 바이오 분야에서 세계적인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차세대 반도체 핵심재료, 디스플레이 소재 개발 등 나노기술의 선진화와 산업화를 위한 연구소입니다. 학계 뿐 아니라 산업체 연구자들이 연구개발부터 상용화 지원까지 한 번에 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학내 연구자들이 나노기술 연계 연구를 더욱 활발하게 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